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수한의 리썰웨펀]남영신 기무사령관 조직장악력 논란
남영신 신임 기무사령관이 이달 4일 경기 과천 국군기무사령부 청사에서 열린 사령관 취임식에서 경례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기무사 중사,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원대복귀 추진 중단 요청드린다” 글 올려

-남영신 현 기무사령관의 부대개편 작업에 기무사 중사가 ‘브레이크’

-여론 시끌…비난 글 쇄도, “글 올린 중사 색출해 처벌해달라” 청원까지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군기무사령부 현역 중사가 청와대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파장이 일고 있다.

기무사 중사 A씨는 지난 23일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기무사령부 장교 및 준,부사관 원대복귀(8.24.) 추진 중단 요청드립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군은 다음 날인 24일 기무사 계엄령 문건 작성과 세월호 유족 동향 사찰, 댓글 공작 등 이른바 ‘3대 불법행위’에 연루된 국군기무사령부 요원 240여명을 24일 육해공군 등 원래 소속부대로 복귀 조치했다.

이전까지 불법행위 관련자로 원대복귀 조치된 기무사 요원은 소강원 기무사 참모장(육군소장)과 기우진 5처장(육군준장) 등 장성 4명 포함 28명이었다.

기무사는 이날 추가로 240여명을 원대복귀 조치하고 추가로 약 500명의 직업군인(군 간부)을 원대복귀 시킬 예정이다.

기무사는 4200여명인 기무사 인원을 2900명 수준의 군사안보지원사령부로 개편작업 중이다. 감축되는 1300여명 중 580여명은 병사이고, 실제 감축되는 직업군인 수는 750명 수준이다.

중사 A씨는 1차 대규모 원대복귀가 일어나기 전날인 23일 이런 일련의 작업을 중단해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올린 글에서 A씨는 “댓글 사건, 세월호 유족 동향 관찰, 계엄령 등 일련의 불법적인 기무사의 행태에 많은 국민들과 가족들이 실망한 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인간은 태어나 누구나 실수를 하고 후회하며 또 실수합니다. 우리 조직도 과거 윤석양 이병 사건으로 조직의 운명이 바뀌고 또 한 번의 중차대한 위기에 직면하였습니다.

그 사실을 부인할 수 없으며 저 또한 책임 면피할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다만, 이렇게 글을 쓰는 요지는 기회를 달라는 것입니다”라며 “이 국가의 안보와 군대의 기능이 살아 있다면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창설과 이에 따른 원대복귀 및 인사명령은 재검토되어야 합니다”라고 주장했다.

정부와 군 당국 관계자들 다수는 적잖은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현역 중사가 대통령 지시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사안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현역 군인이 청와대 홈페이지에 당당하게 글을 올린 행위 자체에 대한 비난도 나온다. 이런 행위 자체가 군의 정치 개입 논란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사령관 업무에 중사가 “중단 요청”…군 기강 논란=군 기강이 무너진게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현재 기무사 해체작업을 주도하는 사람은 남영신 현 기무사령관 겸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창설준비단장이다. 사령관이 주도하고 있는 부대 해체 작업에 대해 사령부 소속 중사가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셈이다.

앞서 기무사 소속 국방부 담당 100부대장(민병삼 육군대령)이 전국에 생중계되고 있는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도중에 송영무 장관과 정면으로 부딪히는 사건이 일어났다.

국민들은 군의 심각한 기강 문란을 우려했다. 이어서 며칠 전 기무사 소속 군인이 일부 언론에 편지를 보내 현 상태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는 한편, 이번에는 기무사 부사관이 청와대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지경까지 이른 것이다.

여론은 이러한 기무사 소속 군인들의 일련의 행위 및 행태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

이런 사태가 지속될 경우 남영신 기무사령관의 조직장악력 논란이 확산될 수밖에 없다. 군 사령관의 ‘령’이 서지 않을 경우, 군은 혼돈으로 빠져들게 된다. 아울러 이번 정부의 군 개혁 작업이 한 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일각에서는 ‘군의 조직 특성을 안다면 일개 중사가 이런 글을 청와대에 올린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윗 선에서 누가 시킨 게 아니겠느냐’는 반응마저 보인다.

기무사 중사의 청와대 게시판 글이 올라온 당일, 여론은 들끓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기무사 중사의 청와대 국민청원글... 웃기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게시자는 “요약하자면 기무사가 잘못한거 인정/근데 누구나 실수 할 수 있잖아/그래도 원대 복귀는 너무해/국가에 충성했는데 이래도 되는겨/배신감 쩌네/함 봐줘/기무사 절대 못 잃어 ㅠㅠ”라며 “국군 최고통수권자가 부대 재편을 명령했는데 중사가 못하겠다고 항명이라니 어처구니가 없네요.

지휘관이 돌격 앞으로 하면 ‘집에 처자식이 있어요 저는 빼주세요’ 하겠군요. 그동안 얼마나 특권의식에 쩔어 있었으면 중사가 저런 글로 기무사 해체 못하겠다고 항명을 하나요.

해편이 아니라 완전 해체후 기존 인원 100% 원대복귀 시키고 100% 새로운 인원으로 신규 부대를 편성해야 한다고 봅니다”라고 적었다.

이 글에 달린 댓글에서도 여론은 드러난다.

▶여론 시끌…비난 글 쇄도, “글 올린 중사 처벌해달라” 청원도=가장 많은 호응을 받은 댓글은 “중사 나부랭이가 이 정도로 나댈 정도면 기무사 권세가 장난 아니네요. 눈에 뵈는게 없네”였다.

두 번째 호응의 댓글은 “쿠테타 계획이 실수라니...이 무슨....”, 세 번째는 “기무사 중사가 저 정도면 나머지는 얼마나 군기가 빠져 있는지 자동적으로 잘 알 수 있는 항목이네요.

지금이라도 내 밑으로 니위로 다 집합해서 연병장 뺑뺑이 돌리면 뺑이칠 별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나 저런 글 써재꼈을까요?”, 네 번째는 “기무사X들이나 관련자들이 글 달고 있나 보네요. 하던 가락이 있으니 잘 하네요”였다.

공동 다섯 번째는 “제가 보기엔 누구 한 명이 총대 매고 여론 조작질 하는 것 같은데요”, “이명박근혜 시절에는 모두가 상명하복과 군인 정신에 투철했던 모양입니다.

문통이 오니까 풍선 바람 빠지듯이 군기가 빠지는군요. 몇 달 있으면 X씨 XX(언론사명)이 폭로 인터뷰들을 따올지도 몰라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공동 일곱 번째는 “한국이 헬조선에 이른 건 시켜서 했다는 사람들을 제대로 처벌하지 않은 탓도 크죠. 친일파 부터요...”와 “현역중사가 이런 글을 청와대에 쓰다니.. 미친 x이네요 진짜”였다.

다음 날인 24일에는 ‘청와대 게시판에 글을 올린 기무사 중사를 색출해 처벌해달라’는 청원이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라왔다.

‘국군기무사령부 원대복귀 관련 어느 중사의 색출 및 처벌 청원’이라는 제목의 이 글에서는 “기무사 중사의 글은 해고라고 표현을 하였는데, 이는 인사명령에 의하여 기무사를 떠나는 것이지 해고가 아닙니다.

독불장군도 아니고 기무사에 들어가앉아있으면 끝까지 호의호식하면서 기무사생활을 할 생각이었는지?? 

글쓴이 중사의 글을 기무사 부대원간 카카오톡 및 내부망을 통하여 각 부대원간 공유하며 청원글을 동의하라고 독촉하는 행위들을 서슴치 않고 있는 현재 진행형인 또 다른 사이버망령이 깃든 기무사 직원들. 아마 중사는 타 부대원이 저러한 글을 청와대 청원글에 올렸다면??

본인이 우연히 그것을 보게 됐다면??

아마도 보고서화해서 신나게 보고서작성하고 지휘체계 문란이라며 떠들어댔겠지???????”라며 기무사 중사의 행위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기무사의 한 관계자는 ‘중사 A씨의 청와대 국민청원 글이 규정에 어긋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해당 글을 올린 중사는 전역할 예정인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