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합계출산율 1.05명 사상 최저…인구절벽 내몰린다
[사진=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35만명대로 추락하면서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1.05명으로 떨어졌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7년 출생통계(확정)’를 보면 작년 출생아 수는 35만7800명으로 전년 40만6200명보다 4만8500명(11.9%) 감소해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을 수치를 기록했다. 감소폭도 2001년(-12.5%) 이후 16년 만에 최대치다.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떨어져 전년 1.17명보다 0.12명(10.2%) 급감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인구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에 크게 못친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도 7.0명으로 전년보다 0.9명(11.4%) 줄어들었다.

여성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이 20대 후반(25∼29세) 47.9명, 30대 초반(30∼34세) 97.7명, 30대 후반(35∼39세)은 47.2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8.5명(15.1%), 12.4명(11.3%), 1.5명(3.1%)씩 일제히 감소했다.

반면, 40대 초반(40∼44세)은 6.0명으로 전년보다 0.1명(1.7%) 늘었다.

특히 주 출산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급감해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이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추락했다.

평균 출산연령은 32.6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은 29.4%로 전년보다 3.0%포인트 높아졌다. 2007년 35세 이상 고령산모 비중이 13.1%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상승속도가 매우 빠르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 성비는 106.3명으로 전년보다 1.3명 증가했다.

혼인 외 출생아 수는 7000명으로 전년보다 800명 줄었으며 출생아 중 비중은 전년과 같은 1.9%를 유지했다.

쌍둥이 등 동시에 두 명 이상이 함께 태어난 다태아는 총출생아 중 3.9%인 1만3922명으로 전년보다 1812명 줄었다. 다태아 구성비는 1997년에 비해 2.8배 증가했다.

출생아 체중은 3.19kg으로 전년보다 0.01kg 감소했다.

17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1.67명)이었고 전남(1.33명), 제주(1.31명) 순이었다. 서울(0.84명), 부산(0.98명)의 합계출산율은 1명 이하로 추락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서울(33.3세)이 가장 높고, 충남(31.8세)이 가장 낮았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