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서울 광역버스 업체, 19개 노선 259대 폐선 신청… 21일부터 운행 중단 위기
- 업체, “최저시급 인상에 경영난”… 노선 유지 어려워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서울 구간 광역버스 업체들이 9일 인천광역시청에 일괄 폐선신고를 신청했다.

최저시급 인상에 따른 경영난 등으로 인해 노선을 도저히 유지할 수 없다는 이유이다.

마니교통ㆍ선진여객ㆍ신강여객 등 6개 업체는 오는 21일 첫차부터 광역버스 19개 노선 버스 259대의 운행을 중단하겠다는 폐선 신고서를 이날 시청 민원실에 제출했다.

해당 노선은 국토교통부가 담당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는 포함되지 않으며, 인천에 본사를 둔 1000ㆍ1100ㆍ1200ㆍ1300ㆍ9100번 등 대부분 인천과 신촌ㆍ서울역ㆍ강남을 잇는 광역버스업체 노선들이다.

이 업체들은 이날 호소문을 통해 “올해 급격한 최저 시급 인상과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로 운송 수지 적자는 계속되고 있다”며 “준공영제 지원을 받는 시내버스 업체와 격차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적자 운행, 근로자의 열악한 처우에 따른 광역버스 근로자 부족으로 해당 사업을 더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상황”이라며 “인천시에 광역버스 기사실태를 여러 차례 보고하고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9일 인천시청 앞에서 인천 광역버스 업체 직원들과 기사들이 9일 인천시의 재정지원을 요구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인천시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천 광역버스 1대당 1일 운송원가는 56만9480원이지만 운송수입은 53만6130원으로, 작년 6개 업체의 적자가 총 22억원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최저 시급은 작년 6470원에서 올해 7530원으로 16.4% 올라 6개 업체의 인건비가 120억6400만원에서 140억4100만원으로 19억7700만원(16.4%) 증가했다.

이에 비해 광역버스 승객은 수도권 철도망 확충에 따라 매년 감소해 경영난 심화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 광역버스 승객은 지난 2013년 2326만명, 2014년 2248만명, 2015년 2092만명, 2016년 2014만명, 2017년 1685만명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광역버스 업계 측은 “광역버스 기사는 인천에서 서울로 오가는 버스를 운전하며 화장실 갈 시간도 없는데 월수입이 250만원 수준”이라며 “시내버스 기사가 350만원 정도 받는데 이런 격차 아래에서는 현재 수준의 노선을 도저히 유지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인천시도 이에 따른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시는 광역버스업계에 올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분 등 23억원을 지원하려는 계획을 검토하다가 광역버스를 준공영제 지원 대상에 포함할지 확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시방편으로 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있어 지원금 지급 계획을 철회했다.

인천시는 버스업체들이 폐선 강행일로 통보한 날보다 5일 앞선 오는 16일까지는 노선 폐지 수용 또는 반려 여부를 회신해야 한다.

만약, 노선 폐지를 수용할 경우 다른 운송사업자를 구할 때까지 인천 광역버스의 75.3%가 발이 묶여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의 극심한 교통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인천시는 업계와 긴밀하게 논의해 운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겠지만,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제 도입으로 인건비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 시 예산으로만 충당하기엔 재정 부담이 커 국비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