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군 장성에 지급되던 승용차 절반 줄인다…군 개혁 일환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승용차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軍 전용승용차 765→417대로 줄어…55% 감축
-현장 부대 지휘관 위주 지급 “전투력 향상이 목적”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국방부는 주로 장성과 대령급 지휘관에게 제공되던 전용 승용차를 절반 이상 줄인다고 8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올해 11월부터 군 전용 승용차 765대 중 417대(55%)를 감축할 예정”이라며 “감축되는 차량은 노후 군 업무용 차량을 대체하는 데 활용하고, 운전병은 잔여 복무기간 등을 고려해 연차적으로 전투병력으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든 장성에게 지원하던 전용 승용차는 전투와 직접 관련이 있는 주요지휘관과 위기관리요원 위주로만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역 장성에게 제공해온 전용 승용차는 435대에서 314대로 121대 줄게 된다.

국방부는 “중장급 이상 장군은 전용 승용차를 전원 지원하되, 소장 이하 장군 중 일반참모 직위자 121명에 대해서는 전용승용차 지원을 중단하기로 했다”며 “다만, 현장 부대 지휘관과 필수 위기관리요원 보직자에는 실질적 필요성에 따라 계속 지원해 군사대비태세 유지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등 정부부처에 근무하는 현역장성도 전용 승용차 지원대상에서 제외됐다.

대령급 지휘관에게 제공되던 전용 승용차는 306대에서 32대로 274대나 감축된다.

대령급 지휘관은 주로 연대장 혹은 여단장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령급 지휘관은 대부분 전용 승용차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나 (지휘관용) 전투 지휘차량이 있으므로 임무수행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실장급 고위 공무원(7명)과 군 책임운용기관장 등에게 지원하던 전용 승용차 22대도 감축대상에 포함됐다.

이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비전투 분야의 병력운용을 최소화해 전투력을 향상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아울러 군 장성에게 특권의식을 내려놓고 솔선수범하라는 메시지를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