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릉 물폭탄, 고온서풍 vs 다습동풍의 백두대간 충돌 때문
6일 호우경보가 내려진 강원 강릉에 폭우가 내려 포남동 일대 도로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이슈섹션] 6일 강원 영동지역에 쏟아진 최고 282㎜의 기습 폭우는 기상청도 전날까지 미처 예측하지 못했다.

앞서 기상청은 지난 5일 오후까지 영동을 비롯한 도 전역에 5∼5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측했었다.

특히 이날 오전 3∼4시 사이 시간당 93㎜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강릉은 밤사이 도로는 물론 농경지, 건물 등이 침수되는 등 시내가 온통 물바다로 변했다.

강릉의 시간당 93㎜는 2002년 8월 31일 태풍 ‘루사’ 당시 시간당 100.5㎜에 이은 역대 2위 기록이다.

그렇다면 기상청도 예측하지 못해 곤혹스럽게 한 폭우의 원인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강원도는 백두대간을 기준으로 동쪽인 영동과 서쪽인 영서의 기후가 사뭇 다르다.

이번에도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대기 불안정에 의한 지형적 원인이라는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기상청은 펄펄 끓는 폭염이 몰고 온 고기압의 서풍과 많은 습기를 머금은 저기압의 동풍이 백두대간에서 충돌해 영동에 기록적인 폭우를 쏟았다고 분석하고 있다.

고온 건조한 폭염 기류가 서쪽에서 백두대간으로, 바닷가에서 불어온 습기를 머금은 동풍도 백두대간으로 이동했다.

이 두 기류가 백두대간 상층에서 충돌해 대기 불안정으로 강한 비구름대가 만들어지면서 기록적인 폭우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대기 불안정으로 적지 않은 비를 뿌릴 것으로 예상은 했으나 이렇게까지 비구름대가 발달해 기습 폭우로 이어질 줄은 미처 예측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국지적으로 강한 강수대가 예상은 됐지만 이를 강수량에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고, 강한 비구름대의 이동 속도가 예상보다 느리다 보니 비가 집중됐다”며 “워낙 이례적인 기상 상황이라 정확한 강수량 예측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전날 오후 6시부터 이날 오후 4시까지 내린 비의 양은 속초 282.1㎜, 강릉 강문277.0㎜, 속초 설악동 269.5㎜, 강릉 194.0㎜, 고성 현내 184.5㎜, 양양 177.5㎜, 고성 간성 152.5㎜ 등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