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천제 만지작’ 한국당 비대위…“큰 변화 보다 기존 제도 보완”
[사진=연합뉴스]
-당헌당규 개정으로 공천 시스템에 변화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30일 공천 시스템 개혁 소위원회(가칭)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공천제도를 손봐 궁극적으로 당헌당규 재개정 작업에 들어가겠다는 것이다. 공천을 둘러싼 친박ㆍ 비박간의 계파 갈등이 한국당이 무너져 내린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는 만큼 공천 소위의 역할과 공천 제도 개선 방향에 관심이 쏠린다.

우선 김병준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김성태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는 공천시스템 개혁에 의지를 갖고 있다. 2020년 21대 총선이 1년 9개월이 남은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는 만큼, 쓸 수 있는 카드인 당헌당규 재개정 권한을 통해서라도 인적쇄신을 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31일 MBC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에 나와 “선거 때마다 현역탈락률이 25~30%고 한국당에 초선이 40명 가까이 된다. 상당히 많이 됐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치가 이렇다. 인물교체만 안된다. 인물교체를 위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태 원내대표 역시 이날 YTN라디오 ‘김호성의 출발새아침’에 나와 “우리 당은 친박-비박 찾다가 쪽박 찬 정당 아닌가. 결국 공천권 다툼 때문에 국민에게 버림받았다”며 “따라서 이 공천 시스템을 이대로 놔두고 어물쩍 넘어갈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비대위의 공천제도 개선 작업은 현행 제도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

현재 한국당의 당헌당규에 따르면 한국당의 공천방법은 ‘경선’과 ‘단수추천’ ‘우선추천’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중 단수추천과 우선추천 모두 ‘사실상 전략공천’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한국당내에서는 그동안 당권을 잡은 세력들이 단수추천과 우수추천제도를 이용해 공천을 하고 이에 반발하는 후보가 탈당하는 일들이 반복돼 왔다.

한 비대위원은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역대 공천을 보면 공천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힘이 있는 쪽에서 무리하게 공천을 왜곡시켰고 그것 때문에 당이 망가졌다”며 “큰 변화를 주기보다 상향식 공천을 기본으로 하면서 전략공천에 대한 꼼꼼한 기준을 만드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당헌당규 재개정 작업은 비대위가 끝날 때 비대위의 결과로서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공천제도 자체가 ‘현역의원’들을 직접 겨냥하고 있는 만큼 혁명적인 변화는 어려워 보인다.

김 원내대표가 이날 라디오에서 대안으로 언급한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비롯한 공천 혁신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한국당 관계자는 “친박, 비박 모두 공천제도를 크게 바꾸는 데는 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