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대통령 지지율, 취임 이후 최저치…전주 대비 5%p↓

- 정의당, 창당 이후 최고치 기록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6ㆍ13 지방선거 이후 문재인 정부의 경제ㆍ민생 문제가 부각되고,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이슈까지 더해지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 긍정률이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무당층과 20대의 지지율 이탈이 컸다. 각종 경제 실정의 부작용이 현실로 나타나면서, 선거에서 결과를 좌우하는 중도, 젊은 층이 대거 이탈한 셈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24~26일 전국 성인 1002명에게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물은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62%가 긍정 평가했고 28%는 부정 평가했으며 9%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주 대비 5%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3%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의 수혜층으로 꼽은 20대에서 역으로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보인 것이 특징이다. 연령별 긍정ㆍ부정률은 20대 60%ㆍ29%, 30대 74%ㆍ19%, 40대 72%ㆍ24%, 50대 57%ㆍ32%, 60대이상 51%ㆍ35%로 지난주와 비교하면 20대에서의 변화폭이 가장 컸다.

지지정당별로는 무당층의 이탈이 눈에 띄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의 대통령 직무 긍정ㆍ부정률은 지난주 43%ㆍ40%에서 이번 주 32%ㆍ44%로 바뀌어 이번 정부 들어 처음으로 긍정ㆍ부정률이 역전했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87%,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78%로 지난주와 비슷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자유한국당ㆍ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는 긍정률(18%ㆍ31%)보다 부정률(68%ㆍ67%)이 높았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620명, 자유응답) ‘대북ㆍ안보 정책’(13%), ‘외교 잘함’, ‘북한과의 대화 재개’(이상 12%), ‘서민 위한 노력ㆍ복지 확대’(10%), ‘개혁ㆍ적폐 청산ㆍ개혁 의지’(7%), ‘최선을 다함ㆍ열심히 한다’(6%), ‘소통 잘함ㆍ국민 공감 노력’(5%), ‘전반적으로 잘한다’, ‘공약 실천’(이상 4%) 순으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284명, 자유응답) ‘경제ㆍ민생 문제 해결 부족’(37%), ‘최저임금 인상’(12%), ‘대북 관계ㆍ친북 성향’(11%), ‘세금 인상’(5%), ‘과거사 들춤ㆍ보복 정치’(4%), ‘과도한 복지’, ‘원전 정책ㆍ탈원전’(이상 3%) 등을 지적했다. 대부분이 경제와 임금, 세금, 탈원전 등 경제 이슈다.


한편 정당지지도에서는 민주당 48%, 한국당과 정의당이 각각 11%, 바른미래당 5%, 민주평화당 1% 순이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전반적인 정당 구도에는 큰 변화 없으나, 수치상 한국당과 정의당이 각각 1%포인트 상승했고 바른미래당은 1%포인트 하락했으며 무당층(23%)도 1%포인트 줄었다.

특히 정의당 지지도는 2012년 10월 창당 이래 최고치(11%)를 기록했다. 정의당은 지난 지방선거의 광역의회 비례대표 선거에서 전국 득표율 9.0%를 기록해 원내 제3당인 바른미래당(7.8%)을 앞섰고, 최근 정당 지지도에서는 3주 연속 원내 제2정당인 한국당과 동률을 기록했다.

그 밖의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