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선급,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 개발 착수
자율운항선박 선체, 엔진 상태기반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모형도. [한국선급 제공]

-‘상태기반 유지관리시스템(CBM) 개발’
-현대해양서비스ㆍKIMST 등 협력 및 지원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한국선급(이정기 회장, 이하KR)은 현대해양서비스, 투그램 시스템즈, 티원아이티 등과 함께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의 지원을 받아 ‘자율운항선박 선체, 엔진 상태기반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연구를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상태기반 유지관리 기술은 설비의 상태를 진단, 분석해 보전 시기를 정하고 맞춤 정비를 수행하는 예방정비 개념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자산 관리시스템의 최신 트렌드이다.

한국선급 디지털라이제이션팀은 향후 자율운항선박 상태감시 및 유지관리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운항선박의 실선 데이터를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선체 및 기관의 이상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고 이를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을 핵심 목표로 과제에 착수했으며 2019년까지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과제의 실측대상 선박은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으로 선체 및 주기관을 대상으로 상태감시 빅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운항선박의 선체응력(Hull Monitoring System, HMS) 및 주기관 진동(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AIS, AMS, VDR 등의 기존 선박 운항, 성능, 환경 데이터 등도 통합적으로 분석한다. 최종적으로는 실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장예측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선박예방정비시스템(Planned Maintenance System, PMS)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의사결정 판단 알고리즘 및 지원시스템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러한 상태감시기술은 미래 자율운항선박의 핵심기술인 동시에 기존 운항선박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한국선급은 선체 및 엔진뿐만 아니라 향후 탱크, 축계시스템 등의 범위까지 확장시켜 최종적으로 자율운항선박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나아가 관련 국제기준 및 표준 개발을 선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