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날개 잃은 ‘명품헬기’ 마린온의 추락…“무기체계 개발 문화 바꿔야”
[사진=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해병대 상륙기동헬기(MUH-1) ‘마린온’ 추락사고를 계기로 한국형 무기체계 개발 시스템을 전면 손질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해병대가 공개한 사고 당시 폐쇄회로(CC)TV 영상에서 마린온은 포항비행장에서 이륙한지 4~5초만에 메인 프로펠러 로터(주회전날개)가 통째로 떨어져 나가고 분리된 동체가 왼편으로 기울며 추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제 조사위원회의 활동 초기 단계지만 사고 원인과 관련해 적잖은 시사점을 던져준다는 평가다.

통상적으로 헬기 추락사고 원인으로는 조종미숙 등 조종사 과실과 노후화, 정비불량, 그리고 기체 자체 결함 등이 꼽힌다.

일단 사망한 정조종사 김 모 중령이 미국 비행시험학교를 이수하고 비행시간이 3300시간에 달하는 베테랑이라는 점에서 조종미숙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또 이번에 추락한 마린온 2호기가 지난 1월 해병대에 인도됐고 총 비행시간이 150시간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노후화와도 거리가 멀다.

이에 따라 기체 자체 결함 여부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해병대 추락사고 조사위원회도 기본설계와 기체 결함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해병대 마린온의 원형인 수리온이 2012년 말 전력화된 이후 여러 유형의 사고와 결함이 있었지만 이번처럼 주회전날개가 통째로 떨어져나간 사례는 없었다”며 “기본설계 결함이나 기체 및 장비결함 등을 집중 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린온의 원형인 수리온 역시 군 당국의 ‘명품 헬기’라는 대대적인 홍보가 무색할만큼 크고 작은 사고로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2014년 프로펠러와 동체 상부 전선절단기 충돌에 따른 엔진 정지, 2015년 엔진과속으로 인한 엔진 정지를 비롯해 기체 진동으로 인한 앞 유리 파손과 프레임(뼈대)에 금이 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특히 작년 7월에는 감사원으로부터 결빙성능과 낙뢰보호기능에 문제가 있고 엔진 형식인증을 거치지 않아 비행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후 체계결빙 운용능력을 입증받으며 명예회복을 하는 듯 했으나 이번 마린온 추락사고로 또다시 곱지 않은 시선을 받게 됐다.

수리온의 개발 원형인 유럽 유로콥터의 쿠거와 파생형인 슈퍼 퓨마에서도 이번 마린온 추락사고와 유사한 사고가 있었다는 점도 기체 결함에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한국형 무기체계 개발 문화와 인식 자체를 바꿔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19일 “197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 방위산업시스템의 근본적 문제가 다시 한번 드러난 것”이라며 “70년대 예산절감효과, 최단기간 개발을 지금까지 적용하다보니 태생부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신 대표는 이어 “미국의 경우 기존 모델을 개량하고 전투적합판정까지 수년이 걸리는데 우리는 몇 달만에 해치운다.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말밖에 안된다”면서 “다소 비싸고 오래 걸리더라도 제대로 해야하고, 군과 국민들이 비싸고 오래 걸려 안된다고 하면 개발을 하지 않는게 맞다”고 덧붙였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