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문]홍종학 중기부 장관 “노동자와 중소기업, 소상공인은 운명공동체”

[헤럴드경제=김진원 기자]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최저임금 인상 후속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홍 장관은 “문재인 정부 이전에 중소기업고가 소상공인 문제는 뒷전”이었다며 “대기업이 골목상권에 침투해도, 중소기업의 기술을 탈취해도, 납품단가를 부당하게 인하해도 마땅히 하소연 할 곳이 없었다”고 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63개 대책, 890여개 과제를 발표했다. 매주 1회 이상 대책을 발표했다”고 했다.

홍 장관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변할 중소벤처기업부가 출범하고 다른 정부부처도 바뀌자 대기업부터 바뀌었다”며 “대기업의 갑질은 눈에 띄게 줄어 들었다. 공개된 갑질에 대해서는 정부가 공정하게 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특히 시장질서를 왜곡하는 기술탈취와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 가맹본부의 불공정행위 근절대책을 발표했다. 카드수수료 인하,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특별법 제정 등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이전에는 불가능했었던 많은 것을 해결했다. 문재인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했다.

홍 장관은 “노동자 여러분께 임금이 오른 만큼 사업주와 힘을 함쳐 더 열심히 일해주고 물건을 살 때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매출을 늘려달라”고 부탁했다.

또 공무원노조와 한국노총, 민주노총에게도 “중소기업 상품을 사주는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온누리 상품권 구매비율을 높이고 공공기관 근처 식당 매출을 늘리기 위해 노력해 달라”고 도움을 요청했다.

또 대기업을 향해서는 “7월 17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하도급법에 따라 중소기업이 임금 인상분을 납품단가 반영을 요청하면 대기업도 적극 수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하는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발언 전문

-홍종학 중기부장관

반갑습니다. 홍종학입니다.
바쁘신 가운데 참석해 주신 중소기업 중앙회의 박성택 회장님과,
부회장님, 그리고 중소기업 대표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이 간담회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중소기업의 어려움과 요청사항을 듣고
조금이나마 어려움을 덜어 드릴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현장의 목소리를 가감없이 전해주시면,
제가 국무회의에 보고하여 대책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입니다.
문재인 정부 이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문제는 뒷전이었습니다.
대기업이 골목상권에 침투해도,
중소기업의 기술을 탈취해도,
납품단가를 부당하게 인하해도
마땅히 하소연 할 곳이 없었습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잊혀진 사람들이었습니다.
제가 국회의원이던 시절,
보이지 않는 중소기업을 찾아다니고,
들리지 않는 소상공인들의 목소리를 듣고자 노력했던 이유였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63개 대책, 890여개 과제를 발표하였습니다.
매주 1회 이상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세상이 바뀌었습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변할 중소벤처기업부가 출범했습니다.
다른 정부부처도 바뀌었습니다.
그러자 대기업부터 바뀌었습니다.
대기업의 갑질은 눈에 띄게 줄어 들었습니다.
공개된 갑질에 대해서는 정부가 공정하게 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장질서를 왜곡하는
기술탈취와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
가맹본부의 불공정행위 근절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카드수수료 인하,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특별법 제정 등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이전에는 불가능했었던 많은 것을 해결하였습니다.
문재인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전
저성장과 양극화가 지속된 한국경제에
미래에 대한 희망은 없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경제성장의 과실이 중소기업과 서민에게 돌아가는
서민을 위한 번영(prosperity for all)이라는
새로운 경제 모형을 제시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제이노믹스(J-nomics)는
서민경제에 돈이 돌아야 경제가 살아난다는
원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그렇지만 문재인 정부 이전에는
서민들의 지갑이 빵빵해져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살아난다는 기본적인 원리는 무시되었다.
소득주도성장론은 서민지갑 빵빵론입니다.
소득주도성장론을 부정하는 것은
서민들을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서민들의 지갑을 빵빵하게 하는 더 나은 정책이 있다면
저희는 얼마든지 수용할 것입니다.
문재인 정부는 항상 열려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은
서민경제에 돈이 돌게 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매출을 늘리는 정책입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소득을 늘려
다시 투자를 늘리고 소비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책입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살아야
한국경제가 살아납니다.

노동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동료이자 고객입니다.
우리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노동자가 윈윈하는 방법을
반드시 찾아낼 것입니다.
그 길만이 한국경제가 오랜
저성장과 양극화의 수렁에서 벗어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임금이 오른 만큼 노동자는 사업주와 힘을 합쳐
생산성과 매출을 높여야 합니다.
생산성과 매출이 늘어나지 않으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이 어려워지고,
그러면 추가적인 임금 인상은 어려워집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변하여,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인 제가
노동자 여러분께 부탁드립니다.
임금이 오른만큼 사업주와 힘을 합쳐
더 열심히 일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물건을 살 때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늘어야
임금이 더 오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와 중소기업, 소상공인은 공동운명체입니다.
중소기업 소상공인이 잘 되야 노동자 여러분의 임금이 오를 수 있고
다 같이 잘 살 수 있습니다.

조금은 불편하시더라도 중소기업 상품을 사 주시기 바랍니다.
소상공인을 위해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을 사랑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수당을 지역사랑 상품권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대한민국의 노동자 여러분들과
한국노총, 민주노총등 노조 지도부에 호소합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물건을 사주는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이 물건을 사주는 만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성장하고
노동자도 함께 윈-윈할 것입니다.
공무원 노조에도 호소합니다.
현재 30%로 되어 있는
선택적 복지비용의 온누리 상품권 구매비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위해
구내식당의 휴무일을 늘려
공공기관 근처 식당의 매출을 늘리기 위해
노력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서민경제의 근간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살리기 위해
우리 모두가 나서야 합니다.

대기업에도 요청합니다.
서민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정책을
적극 지원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임금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즉시 반영하여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7.17일부터 최저임금 인상분에 대하여
납품단가에 반영을 요청하면
10일이내 협의를 개시하는 하도급법이 시행됩니다.
중소기업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납품단가 조정을 요청하면
대기업에서 적극 수용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중소기업에서도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납품단가 인상요인이 생기면
중소기업이 당당하게 요구하고,
대기업이 이를 적극 수용하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대기업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살리는데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살아야
대기업의 경쟁력도 높아집니다.


중소기업인 여러분!
여러분과 문재인 정부의 목표는 같습니다.
중소기업이 잘 되어야 한국경제가 살아납니다.
일자리를 만드는 중소기업인이 진정한 애국자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그동안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즉시 정책에 반영하여 문제를 해결해 왔습니다.
오늘도 여러분의 의견을 들어 대책을 만들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보완대책도 만들고 또 만들겠습니다.
오늘 제기하시는 문제에 대하여
정부 부처는 물론 국회에도 여러분의 뜻을 전달하고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in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