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경제 지형 넓힌다
-인도ㆍ싱가포르 순방에서 적극적 경제 행보
-현장에서 만난 韓ㆍ인도 기업들에게 ‘일자리 창출’ 적극 주문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인도·싱가포르 순방의 핵심은 ‘경제’로 압축된다. 외교 지형을 넓히겠다는 ‘신남방·신북방’ 정책과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를 정착 시키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지향하는 최종 목적지 역시 ‘경제 발전’에 닿아있다. 정치가 ‘풀고’ 경제가 ‘정착’하는 투트랙 전략은 이번 인도·싱가포르 국빈 순방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평가다.

▶文 “韓, 기업하기 좋은나라 만들겠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도 방문에서 기업인들로 구성된 대규모 경제사절단과 동행했다. 이전 정부에선 ‘세일즈 외교’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문재인 정부의 경우 ‘세일즈 외교’ 표현은 사용치 않는다. 모든 대통령의 순방은 자체로 ‘정치와 경제’가 함께 움직인다는 철학 때문이다.

인도의 경우 잠재력이 대단한 국가로 평가된다. 10억이 넘는 인구에 뱅갈로르 지역을 중심으로 한 IT인력은 인도가 한국과 4차 산업혁명을 함께 준비할 최적의 파트너로 꼽히는 이유중 하나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는 이번 순방에서 ‘제이(J) 노믹스’ 구현을 위해 기업들이 보다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인도 비즈니스포럼에서 “지금이 한국에 투자할 적기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린다”며 양국의 투자·교류 확대를 강조했다. ‘한·인도 CEO라운드테이블’에서도 문 대통령은 “기업 하기 좋은 나라가 되도록 양국 정부가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순방 최대 이벤트는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을 인도 현지에서 만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 부회장과 웃으며 악수를 한 것은 물론, 별도 접견에서 “한국에서도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대법원 최종 선고를 기다리고 있는 이 부회장을 문 대통령이 만난 것은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만들기를 최우선하겠다는 정부 운영 방침을 표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10일 문 대통령이 마힌드라 그룹의 아난드 마힌드라 회장을 만나 쌍용자동차 해고자 문제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한 것 역시,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文 정부, 中 의존↓ 외교 다변화 핵심= 문 대통령은 인도와의 경제협력을 한층 가속하며 신남방정책 교두보 확보에 진력하고 있다. 서남아시아 최강국 인도를 특별전략적동반자 관계로 설정한 것은 2016년 ‘사드 보복’ 당시 한국이 입은 경제적 타격 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해석된다. 인도 등 국가들과 교역액을 확대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중국 의존도를 낮춰, 특정 국가의 경제적 보복 조치에도 단단하게 버틸 수 있는 경제 체력을 다지겠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신남방ㆍ신북방 정책’의 핵심이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인도 모디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사람·상생번영·평화·미래를 위한 비전’을 채택, 현재 200억 달러 수준의 교역을 2030년까지 500억 달러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인도측의 성의도 각별했다. 인도측은 문 대통령의 방문을 지난해부터 요청했는데, 그동안 남북·북미 정상회담 일정 등을 소화하느라 차일피일 미뤄왔던 것이 사실이다. 인도측의 각별한 문 대통령 예우는 곳곳에서 드러났다. 우선 이번 방문에서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18개의 일정 가운데 11개를 함께할 정도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윤영찬 국민소통 수석은 “모디 총리는 한인 동포간담회에 인도 전통 예술단을 파견하는 등 이례적인 호의를 배풀었다”며 “양국 정상 간 신뢰와 우의를 확고히 다졌다”고 평가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