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첨단 양자정보통신 기술, 세계시장 선점은 PCT 국제특허출원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글로벌 IT 기업들의 각축전 치열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정보통신기술의 핵심기술인 양자정보통신 기술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5G 네트워크 등을 지원하는 기반기술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11일 특허청(청장 성윤모)에 따르면, 양자정보통신 기술 관련 PCT 국제특허출원은 2000년부터 2013년 사이 연평균 15.9건에 불과했으나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7년 71건에 이르기까지 연평균 50.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하는 양자정보통신 기술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인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화웨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치열히 경쟁하면서 관련 PCT 국제특허출원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5월까지 공개된 양자정보통신 관련 PCT 국제특허출원을 기술별로 살펴보면, 양자컴퓨팅 기술 241건, 양자통신 기술 138건, 응용기술 23건이 출원됐다. 양자컴퓨팅 기술에 가장 많은 출원이 이루어진 것은 AI, 빅데이터 분석 등 최근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발전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출원인으로는 D-Wave 시스템(51건), 인텔(40건), 구글(18건), 마이크로소프트(14건), 미쯔비시(7건) 등이 있으며, 최근 5년간 주요 출원인들의 출원 추이를 살펴보면, D-Wave 시스템(17건)이 꾸준하게 출원하고 있고, 올해 1월 CES에 49 큐빗 반도체칩을 소개한 인텔(39건)과 지난 3월 72 큐빗 칩인 브리슬콘(Bristlecone)을 발표한 구글(18건)을 포함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는 기업들과, 화웨이(6건), SK 텔레콤(4건)과 같이 양자통신기술을 선점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출원 증가가 두드러진다.

특허청 김재문 국제특허출원심사2팀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에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저조한 수준이어서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PCT 국제특허출원제도를 활용해 글로벌 지식 재산권 확보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