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김-최선희, 북미정상회담 하루 앞두고 CVID-CVIG 막판 조율
-정상회담 합의문 초안 놓고 막판까지 협상

[싱가포르=문재연 기자] 성 김 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북미정상회담 전날인 11일 합의문 초안의 최종조율을 위한 실무 회담에 착수했다.

성 김 대사와 최 부상은 비핵화와 북한 체제안전보장 등 정상회담 합의문의 핵심을 이룰 의제 논의를 위해 이날 오전 싱가포르 리츠칼튼 호텔에서 만났다. 성 김 대사는 이날 오전 9시 30분께(한국시각 오전 10시 30분)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담당 보좌관과 함께 호텔에 도착했다. 이들은 코멘트를 요구하는 취재진의 요청에 답변없이 바로 회담장으로 이동했다.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1일 오전 성 김 주 필리핀 미국 대사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만나기 위해 싱가포르 리츠칼튼 밀레니아호텔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이날 오전 9시경 샹그릴라 호텔 로비에서는 후커 보좌관과 랜달 슈라이버 미 국방부 아시아ㆍ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포착되기도 했다. 슈라이버 차관보는 실무협상에 나설 것이냐는 헤럴드경제 기자의 질문에 “할 말이 없다”(I have nothing to comment)고 답했다. 샹그릴라 호텔 로비에는 간혹 미 국무부 당국자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들은 코멘트를 요구하는 기자의 요청에 모두 “답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 부상도 최강일 외무성 국장대행을 대동하고 오전 9시 44분께 리츠칼튼 호텔에 들어섰다. 최 부상도 기자들의 질문 공세에 대응하지 않았다. 회담장에 김성혜 노동당 통일전선부 통일전선책략실장도 들어가 눈길을 끌었다.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1일 오전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성 김 주 필리핀 미국대사와 만나기 위해 싱가포르 리츠칼튼 밀레니아호텔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북미 의제 실무단은 11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비핵화 및 체제보장을 둘러싼 마지막 실무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 실무협상단을 이끄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미국담당 부상은 이날 오전 북측이 머물고 있는 숙소인 세인트 리저스 호텔을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미측 협상단을 이끌고 있는 성김 필리핀주재 미국대사의 행방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날 최 부상을 만나 북미정상회담 합의안 조정을 위한 막판 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6ㆍ12 북미정상회담이 제시한 성공기준점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의 명문화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북미정상회담은 이날 트위터에 김 대사와 함께 조찬을 하는 사진을 올리고 “나의 국무부 팀과 함께 일찍 브리핑을 받았다. 성 김 대사가 오늘 북한과 만난다”며 “우리는 한반도의 CVID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측에 미국이 줄곧 주장해 온 CVID 원칙을 재차 강하게 압박하려는 일종의 ‘성명’의 성격으로 풀이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싱가포르행 비행기에 오르기 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CVID에 대한 결단을 촉구한 바 있다.

김 대사와 최 부상을 단장으로 한 북미 실무협상단은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판문점 통일각에서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선후관계와 구체적 방법론과 시한을 둘러싼 협상을 벌였지만, 이견을 크게 좁히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실무협상에서 CVID 명문화에대한 합의도출이 이뤄지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다음날 북미정상회담에서 담판을 벌일 가능성이 크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