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해 현충일 추념식, 대전서 열리는 이유는?
-1999년 이후 처음…“최근 순직자 대다수 안장”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올해 현충일 추념식이 거의 20년 만에 서울이 아닌 대전에서 개최되는 가운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6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제63회 현충일 추념식은 이날 오전 9시 47분께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개최된다.

현충일 추념식이 서울현충원이 아닌 대전현충원에서 열리는 것은 1999년 이후 19년 만이다.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군 장병들이 대전현충원에 잠든 천안함 희생장병 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념식이 매년 열리던 서울현충원이 아닌 대전현충원에서 열리는 배경에는 최근 순직한 분들을 기리고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뜻이라는 것이 보훈처의 설명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대전현충원에는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는 물론, 의사상자, 독도의용수비대, 순직 소방공무원 묘역까지 조성돼 있으며, 최근 순직하신 분들 대다수가 안장돼 있다”며 “지금도 나라를 위해 희생하시는 분들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대전현충원에서 추념식을 개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428030,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당신을 기억합니다’라는 주제로 거행되는 현충일 추념식은 현충원부터 호국원, 민주묘지, 최근 국립묘지로 승격된 신암선열공원까지 10개 국립묘지의 안장자를 모두 합한 숫자로 주제를 정했다.

추념식은 국가유공자와 유족, 각계대표, 시민 등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묘역 참배를 시작으로 추념행사, 순직 소방공무원 추모식 순으로 진행된다.

오전 10시 정각에는 전국적으로 울리는 사이렌 소리에 맞춰 1분간 추모묵념을 한다.

추모묵념 때는 세종로사거리, 광화문, 국회의사당 앞 삼거리, 삼성역 사거리 등 서울 18곳을 포함해 부산, 대전, 대구, 광주 등 전국 225곳의 주요 도로에 있는 차량이 모두 일시 정차해야 한다.

지방 현충일 추념식은 17개 시ㆍ도와 226개 시ㆍ군ㆍ구 주관으로 서울현충원과 전국 충혼탑 등에서 열린다.

re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