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뉴스탐색] ‘학생부 간소화’ 앞두고 격론…“사교육 축소” vs “다양한 활동 위축”
-시민 정책 참여단이 다음달 최종 권고안 도출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교육부가 7월말까지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기재 방식 개선안을 발표할 것으로 발표하면서 학생부 간소화를 둘러싼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학생부 간소화는 특히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학생부종합전형(학종) 공정성과 직결된 문제여서 갑론을박은 더욱 치열하다.

교육부가 4월 발표한 학생부 개선안 시안에 따르면 현행 학생부에서 수상 실적ㆍ자율동아리 활동 등이 삭제된다. 수상 실적은 전면적으로 제외하고, 자율 동아리 활동, 청소년단체 활동, 방과후학교 활동 등도 빠진다. 소논문 작성 활동의 경우는 정규 교과에서 지도한 경우에만 기재할 수 있다. 각종 자격증이나 인증 취득 등은 학생부에 적더라도 대입 자료로 대학에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학생부 분량도 절반으로 줄어든다.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은 기존에는 최대 3000자 분량이었던 것을 1700자로 줄였다. 봉사활동은 아예 적지 않는다.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분량도 최대 1000자에서 500자로 줄었다. 교사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교사의 ‘작문 능력’에 따라 내용과 분량이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반면 일명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모든 학생들에게 과목별로 적도록 했다. 대부분 학교가 상위권 학생들 위주로 적어주던 것을 교과 담당교사가 모든 지도 학생에게 적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시안을 바라보는 교육계의 시각은 엇갈린다. 기존 비교과 활동이 사교육을 유발해왔다고 비판해왔던 측에서는 이번 축소안을 환영하고 나섰다. 학교별로 남발했던 교내 대회 등이 사실상 학생 혼자 준비하기 어려웠고 사교육에 기댄 채 진행됐다는 지적이다.

반면 대학과 사교육 업계는 학생부 간소화가 학생부 하향 평준화를 불러올 것을 우려하고 나섰다. 교내수상ㆍ자율동아리까지 학생부에서 제외하면 학교에서 수업 외로 진행했던 다양한 활동들이 위축될 수 있다는 목소리다. 학생들을 변별해 선발해야 하는 일부 대학들도 자칫 천편일률적인 학생부를 받게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엇갈린 갑론을박은 우선 정책 숙려제를 통한 시민 정책 참여단을 통해 해법을 모색할 전망이다. 교육부는 지난 4월 학생부 개선 방안을 ‘정책 숙려제’ 1호 안건으로 지정하고 시민 정책 참여단을 선발 중이다. 정책 숙려제는 교육부가 정책 결정에 앞서 시민 정책 참여단을 통해 숙의할 시간을 가진 뒤 권고안을 도출하는 제도다. 정책 참여단은 학생(중3~고2)ㆍ학부모ㆍ교사ㆍ대학 관계자ㆍ일반 국민 등 5개 그룹에서 각 20명씩 무작위로 선발한 100명으로 구성한다.

참여단은 교육부가 4월 발표한 학생부 개선안 시안을 바탕으로 권고안을 만든다. 이달 16~17일과 다음 달 7~8일에 두 차례 합숙 워크숍을 통해 최종 권고안을 도출한다.

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