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숫자로 읽는 서울] ‘깜깜이 선거’ 우려…이번 2030세대는 다를까
-서울 2030세대, 좋은 시민 덕목 ‘투표’ 1위
-“투표권 통해 의견 적극 표출 욕망 높다”
-매번 투표율 비약상승세…정치권도 주시
-“청년으로 정책 집중…최대 투표율 전망”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6ㆍ13 지방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 2030세대가 좋은 시민의 가장 큰 덕목으로 ‘투표’를 꼽았다는 분석이 있어 눈길을 끈다. 북미 정상회담과 2018 러시아 월드컵에 따라 ‘깜깜이 선거’로 역대 최저 투표율이 조심스럽게 점쳐지는 상황에서 2030세대가 우려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지 않을까 주목하게 하는 조사결과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6ㆍ13 지방선거 사전투표 모의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6일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6월 서울에 사는 20~39세 청년층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만든 ‘서울 미래세대 리포트 : 꿈과 현실, 그리고 정치의식’에 따르면, 서울 2030세대는 좋은 시민이 되는데 중요 덕목(5점 척도)으로 ‘선거 때 항상 투표하는 것’(4.52점)을 꼽았다. 이어 ‘탈세하지 않는 것’(4.37점), ‘법과 규칙을 잘 지키는 것’(4.29점), ‘정부가 하는 일을 늘 지켜보는 것’(4.00점) 등이 4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보다 못 사는 한국에 있는 사람을 도움’(3.34점), ‘나보다 못 사는 외국에 있는 사람을 도움’(2.92점) 등 보다는 확연히 높은 값이다.

연구 책임을 맡은 변미리 글로벌미래연구센터장은 “2030세대가 생각하는 좋은 시민 조건은 투표권을 갖고 자기 의견을 적극 표출하는 것”이라며 “납세와 법규 준수 등 시민 의무를 다하며 정부와 정치에 관심을 갖는 일도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권도 2030세대를 주시하고 있다.

역대 지방선거에서 2030세대 투표율은 늘 전체 투표율 보다 낮았다. 지난 6차례 지방선거 전체 투표율은 1회 68.4%, 2회 52.7%, 3회 48.9%, 4회 51.6%, 5회 54.5%, 6회 56.8%였다. 이 중 2030세대 투표율은 50%를 밑돌며 매번 최하위를 유지하고 있다. 60세 이상 투표율이 매회 70%선을 유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흐름으로 보면 다르다.

5회와 6회를 비교해보면 20대 초반은 45.8%에서 51.4%, 20대 후반은 37.1%에서 45.1%로 투표율이 뛰었다. 30대도 초반은 41.9%에서 45.1%로, 후반은 50.0%에서 53.3%로 증가했다. 2030세대 투표율이 비약적인 상승세인 것이다.

이번 6ㆍ13 지방선거에서 2030세대 투표율이 갱신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정치 평론가는 ”촛불집회 이후 대선을 겪으면서 2030세대도 투표율이 곧 영향력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정치 이슈에 적극 관심을 갖고 있다“며 ”최근 모든 정책현안이 청년이 몰려있다는 점도 다른 이슈를 뒤로한 채 이들을 투표소로 향하게 할 것“이라고 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