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2022년까지 바이오 창업 500개 양성
- 바이오 실험실 창업 기업 500개 양성
- 올해 3700억 투자
- 2022년까지 1만~2만명 일자리 창출 효과 기대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바이오 창업 500개를 양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홍릉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공공 연구성과를 일자리로 연결하기 위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 내용은 지난 9월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 육성전략인 ‘바이오경제혁신전략 2025’의 후속 조치로, 바이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 전략을 담고 있다.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전략 사업 체계도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는 신기술ㆍ신산업 창출이 유망하고 고용유발효과가 높은 바이오 분야를 양질의 일자리 확대가 가능한 영역으로 보고 우수 연구성과 기반을 갖춘 바이오 실험실 창업을 지원 분야로 설정했다.

실험실 창업은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논문 또는 특허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을 말한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집약형창업으로 일반 창업에 비해 고용창출(평균 9.5명) 및 생존률(5년 80% 이상 생존)이 3배 우수하다.

정부는 현재 1600개(2016년 기준)인 바이오 실험실 창업 규모를 오는 2022년까지 2100개로 늘리고 바이오 창업의 낮은 성공률과 긴 기간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바이오 창업 500개 양성으로 최소 1만~2만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의 바이오 일자리 전략에 따르면 바이오 원천 R&D는 프로그램형 과제와 실용화 중점과제, 산ㆍ학ㆍ연ㆍ병원 등 협동 신규과제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우선 올해 정부의 바이오 원천 R&D 예산 3700억원이 프로그램형 과제(3400억원)와 실용화 중점과제(330억원)에 투입된다.

정부는 기존의 실용화 중점과제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형 과제를 포함한 바이오 원천 R&D 전체에 대해 창업을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기존에 창의적 연구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뒀던 프로그램형 과제에 대해서도 창업 지원 체계를 구축해 오는 2022년까지 창업 346개 및 2810명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기술창업이 목적인 실용화 중점 과제는 ‘연구자 기술투자 + 기업가 자본ㆍ경영투자’ 형태의 창업 및 인수ㆍ합병(M&A)을 시설, 보육, 인허가ㆍ사업화 자문을 포함하는 구조로 통합 지원한다. 또 학ㆍ연의 원천기술을 활용해 참여자 간 지분구조를 명확히 한 ‘가벼운 법인’ 설립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용화 중점과제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창업 50개 및 26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나머지 100여개의 바이오 창업은 병원 헬스케어나 청년창업가 등 신규 과제를 통해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을 중심으로 인력ㆍ장비ㆍ시설ㆍ공간 제공, 사업화 전략 마련 등을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지원해 창업과 일자리 창출에 생소한 연구자의 어려움과 부담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기술사업화에 참여하도록 인센티브 제공 등 제도를 개선하고 규제와 자금 걱정 없이 창업할 수 있는 바이오 생태계 조성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세계에서 통하는 혁신적 ‘기술’, 실험실 창업을 돕는 ‘사람’과 ‘환경’, 혁신적 연구와 창업을 촉진하는 ‘제도’에 초점을 두고 현장이 원하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bons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