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난임 인구 20만 시대, 치료제 개발 꾸준···국내 특허출원 10년새 8배 증가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부부 7쌍 중 1쌍이 난임(건강보험심사평가원)일 정도로 난임 부부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치료제 개발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심각한 인구문제를 겪고 있는 국내상황에선 고무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허청(청장 성윤모)에 따르면, 난임 부부를 돕기 위한 난임 치료제 관련 특허출원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2008년~2017년까지 10년간 난임 치료제와 관련된 특허출원 건수는 총 258건으로, 한 해에 적게는 17건, 많게는 34건의 특허가 출원돼 매년 평균 26건의 특허가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 치료제 유형을 크게 구분해보면, 합성화합물이 48%(124건)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바이오의약품이 40%(102건), 천연물이 11%(29건)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인의 국적을 분석해보면, 지난 10년간 외국인에 의한 출원이 70%(181건)로 다수를 차지했는데, 이는 난임에 대한 의학적 관심이 외국의 제약 선진국을 중심으로 먼저 일어났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주목할 만한 것은 내국인의 경우 2008년에는 2건에 불과했던 특허출원이 이후 증가하여 2017년에는 16건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최근 들어 난임 치료제에 대한 국내 업계 및 학계의 연구 활동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특히 천연물의 경우 내국인의 출원 비중이 90%(26건)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약, 민간 요법과 같은 우리나라의 풍부한 전통의학지식을 기반으로, 국내 연구소 및 기업이 외국에 비해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천연물이 특허 등록된 사례로는, 동국대학교 한방병원에서 처방되고 있는 토사자, 복분자, 인삼, 구기자, 당귀 등이 배합된 한약이 착상 개선용 난임 치료 용도로 특허 등록을 받았고, 광동제약에서 출원한 생지황, 복령, 인삼, 구기자 등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정자 수 증가를 통한 남성 난임 치료 용도로 국내는 물론 일본에서도 특허 등록을 받은 예 등이 있다.

향후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장점을 가진 이러한 천연물 의약품이 난임 치료제 시장에서 얼마나 비중을 높여갈지 관심이 주목된다.

한편, 난임 치료제 시장을 살펴보면, 세계적 제약회사 머크가 난임 치료용 배란 유도제 고날에프(Gonal-f)로 인해 2016년 1분기 동안 17.0%의 높은 매출 성장을 달성했고, 중국 난임 치료제 시장의 경우 2013년 약 1500억원 규모로부터 매년 20% 이상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추세를 고려해볼 때, 난임 치료제 시장의 규모 및 잠재력은 갈수록 커질 것이란 예상이다.

특허청 이유형 약품화학심사과장은 “저출산 시대에 아기를 간절히 희망하는 난임 부부를 도울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은 가정의 행복은 물론이고, 가까운 미래에 인구절벽의 위협에 처해있는 우리나라의 국가적 생존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연구소 및 업계 차원에서 난임치료제에 관한 신기술 확보와 지재권 선점에 더욱더 증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