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드루킹ㆍ정상회담, 묻혀버린 지방선거…安도, 김문수도 안 보여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13일 6ㆍ13 지방선거가 1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별다른 이슈를 끌지 못하고 있다. 드루킹 게이트로 말미암은 국회 파행, 연이은 정상회담 등 굵직한 중앙 현안이 연달아 터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설명= 바른미래당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가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서울 산업경쟁력 강화 다시뛰는 경제 심장 서울’ 기자회견에서 ‘안철수의 미래서울 산업지도’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웃는 쪽은 더불어민주당이다. 박원순 서울시장 등 상당수 지역에서 선두를 달리는 여당 입장에선 중앙정치가 지방 이슈를 잡아먹으면서 인물이 아닌 정당이 두드러질수록 좋다. 인물이 아닌 당 대 당 싸움으로 지방선거를 치르자면 고공 지지율을 확보 중인 여당이 낙승할 공산이 크다.

반대로 말하면 지지율 약세인 야권이 지방선거에 승리하려면 인물을 부각시켜야만 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역대 지방선거가 이를 증명했다. 중앙당 지지율과 다른 지방선거 결과가 나온 선거는 십중팔구 인물선거로 선거판이 흘러갔다. 2010년 지방선거가 대표적이다. 당시 한나라당은 지지율을 앞섰지만, 지방선거에서 사실상 패했다. 야권이 ‘무상급식‘이란 개별공약을 내세워 인물을 부각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엔 대역전을 위한 시나리오 자체가 그려지질 않는다. 거대한 중앙 이슈가 인물을 부각시킬 기회조차 박탈했다. 야권은 당혹스럽단 입장이다. 안 후보는 이와 관련 한 라디오에서 “남북정상회담 여파로 지방선거를 치르는지 잘 모르는 분들도 많다”고 토로했다. 지방선거 직전 북미정상회담이 이뤄질 예정이기에 이러한 흐름은 더 거세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박 시장 등 민주당 소속 후보들은 상대 후보와의 설전을 피하면서 조용한 선거전을 치르고 있다.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가 박 시장을 겨냥해 날 선 비판을 해도 별다른 반응이 없다. 굳이 진흙탕 싸움으로 선거판을 이끌지 않아도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한 야권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정상회담이 모든 이슈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며 “야당으로는 최악의 상태”라고까지 평가했다. 예정된 여권 호재를 막들 방도가 없다는 설명이다. 모든 언론과 국민의 관심이 회담으로 쏠리면 야권 후보는 존재를 부각할 기회도 얻지 못한다. 입이 닫힌 채로 선거를 치러야 하는 셈이다.

한국당 후보들과 홍준표 한국당 대표 사이 다툼이 생기는 원인도 여기에 있다. 중앙 이슈를 최대한 죽여야 하는데,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날이 선 비판을 하니 후보 입장에선 달가울 리 없다. 최대 지원군이어야 할 홍 대표가 마치 ‘리스크’처럼 받아들여진다.

후보들은 이에 정상회담 등 이슈에 대해 홍 대표와 다르게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면서 민생 등 개별 지방 문제로 시선을 돌리려 시도한다. 재선에 도전한 남경필 경기지사 후보 등은 ‘나라를 통째로 넘기시겠습니까’라는 슬로건에 반기를 들었다.

해당 슬로건은 안보와 관련됐다고 해석될 가능성이 크다. ‘북에게’라는 말이 생략됐다고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자칫 안보라는 중앙 이슈에 한국당이 끌려가선 안 된다는 걸 잘 아는 후보들로서는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한국당은 이에 ‘경제를 통째로 넘기시겠습니까’란 새로운 슬로건을 내놨다.

안 후보도 민생, 경제 문제 등 지역현안 부각시키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날 안 후보는 보도자료를 내고 ‘5대 권역 특화 산업재편과 일자리 창출’을 공약했다. 서울을 도심(관광), 동북(창업), 서북(미디어), 강남(스타일), 강서(IoT) 권역으로 나눠 지역에 맞는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서울을 떠난 사람의 46%가 2030세대다. 청년 엑서더스 현상은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났다고 본다”며 “미래에 대비하는 산업구조 개편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