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하대 김상섭 교수 연구팀, ‘자가치유’ 가능한 도금강판 개발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하대학교 김상섭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생물의 자가 치유기능과 같이 손상된 부분을 메워 부식속도를 낮추는 도금강판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가 담긴 논문 ‘마그네슘 공급 조절을 이용한 알루미늄 도금강판의 초고내식성 구현(Super anticorrosion of aluminized steel by a controlled Mg supply)’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18년 8호 온라인 판에 실렸다. 

신개념 도금강판 개발에 성공한 인하대 신소재공학과 김상섭 교수와 학생들. [사진제공=인하대]

이번 연구는 포스코 스마트강판 소재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RIST) 정재인 박사 연구팀과 해양대 이명훈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김 교수 연구팀 등이 개발한 도금강판은 기존 아연 도금강판과 비교해 두께는 1/3 이하이고 녹이 슬지 않는 특성인 내식성은 20배 이상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 도금에 사용된 물질은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실리콘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소재다.

이는 생물이 상처 난 부분을 생체 물질로 채워 스스로 치유하는 것처럼 도금강판 표면이 손상을 입으면 액체와 같은 성질을 지닌 고체물질이 이 손상 부분을 메워 부식 속도를 낮춰준다.

새 도금강판의 명칭은 ‘MAS(Mg-enriched Al-Si) 강판’이다.

신개념 도금강판은 자동차, 건축물, 가전제품 외장재 등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또 부식관련 소재개발 연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상섭 교수는 “도금강판에 형성된 합금상이 부식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조사해 MAS 강판에서 생물의 자가 치유 기능과 같은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며 “이번 발견을 바탕으로 부식 속도를 차례로 제어해 자가 치유 기능을 최대화하는 합금상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