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피플 & 스토리] 과학기술, 그의 손이 닿으면 ‘미래 먹거리’가 된다
강소 연구소기업 육성·실험실 일자리 만들기 최선
KAIST 개발 ‘온라인 전기자동차’ 상용화 구상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대학과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들은 사람의 몸에 비유하면 심장, 폐, 위 등 살아가는데 필요한 장기(臟器)에 해당되고, 특구진흥재단은 이들을 이어주는 혈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히면 동맥경화와 심하면 뇌출혈을 일으키죠. 재단은 이 같은 병목현상(Bottle-Neck)을 제거하고 치료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대덕, 대구, 부산, 광주, 전북 등 국내 5개 연구개발특구를 총괄하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수장으로 선임된 양성광 이사장은 연구개발 기술사업화 분야의 전문가로 통한다.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 등 중앙부처에서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 관련 업무를 주로 맡아온 양 이사장은 취임 일성으로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산ㆍ학ㆍ연ㆍ관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 성장의 기반을 탄탄히 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올해 초 대덕, 대구, 부산, 광주, 전북 등 국내 5개 연구개발특구를 총괄하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수장으로 선임된 양성광 이사장은 연구개발 기술사업화 분야의 전문가로 통한다.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 등 중앙부처에서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 관련 업무를 주로 맡아온 양 이사장은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정희조 기자/checho@heraldcorp.com

대덕에 전기차를 달리게 하다=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일자리 생태계’가 활성화되려면 연구개발특구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양 이사장은 취임하자마자 특구진흥재단이 지금까지 수행해 온 사업들에 대한 철저한 성과분석에 착수했다.

효율이 낮은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새로운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데 주력했다.

원천성이 없고 사업화 가능성이 부족한 ‘그저 그런’ 기술에 대한 지원은 대폭 삭감했다.

주말도 반납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우수한 원천기술을 찾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현장에 내려와 보니 한 가지 답답한 생각이 머릿속을 맴돌았다”며 “출연연구기관이 밀집된 대덕연구개발특구에 과학기술을 알릴 만한, 그리고 대표할 만한 상징성을 지닌 랜드마크가 부족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던 중 최근 그에게 하나의 구상이 떠올랐고 곧 그 아이디어는 실행을 앞두고 있다.

그는 대덕특구 내 출연연간 자연스런 교류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KAIST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온라인 전기자동차’(OLEV)를 활용, 대덕특구 순환버스를 운행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OLEV는 주행 및 정차 중 도로에 설치된 급전인프라를 통해 비접촉 자기방식으로 전력이 공급돼 별도의 충전시설이 필요없는 전기자동차다.

전체 운행구간 중 시점ㆍ종점ㆍ정류장 등 10% 정도에만 전기선을 매설하면 나머지 구간에서도 배터리를 통해 차량 구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같은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현재 KAIST 교내와 과천 어린이대공원에서만 운행되고 있는 등 본격 상용화에 이르지 못한 상태다.

양 이사장은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무게, 가격, 주행거리, 충전시간 등의 측면에서 기존 전기자동차보다 상용화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KAIST 문지캠퍼스와 대덕연구단지 종합운동장에 스테이션을 구축해놓으면 자유롭게 충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은 대덕출연연은 가까운 거리라도 자동차 없이는 다닐 수가 없죠. 전기차가 상용화되면 굳이 차를 갖고 다닐 필요 없이 대덕 단지에 하나의 브랜드로서도 손색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양 이사장의 제안은 현재 특구재단과 KAIST, 출연연 등이 초기투자비를 공동 부담하는 쪽으로 협의가 진행중이다.

그는 이번 프로젝트로 대덕특구가 우수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보다 질…부실 연구소 기업에 ‘메스’= 그는 재단을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 등이 보유한 연구성과물을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 육성의 ‘메카’로 육성하는데도 관심이 크다. 이를 위해 취임 후 제일 먼저 한 일은 부실 연구소 기업을 솎아내는 일이었다.

연구소기업은 출연연 등이 개발한 기술의 사업화가 주 목적으로 설립 후 3년간 소득 법인세 감면, 취득 등록세 면제, 7년간 제산세 100% 감면 등의 혜택을 부여받는다.

지금까지 전국에 설립된 연구소기업은 550개에 달할 정도로 외형적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반면 외형적 성장 만큼 정부의 세제지원을 노린 부실 연구소 기업도 덩달아 늘어났다.

그는 이런 부실 연구소 기업들에 ‘메스’를 댔다.

양 이사장은 “기존 2년간 R&BD(사업화과제연구개발) 지원방식에서 1년 지원 후 성과가 우수한 경쟁력있는 기업을 선별해 추가로 1년을 지원하는 ‘1+1 형태’로 개선했다”면서 “자본금 규모별 연구소기업 설립조건을 다양화하는 제도개선을 통해 양질의 연구소기업 설립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구진흥재단은 시장 경쟁력, 성장성 등 철저한 역량 진단을 통해 견실한 연구소기업에 초점을 맞춰 지원해 부실 연구소기업을 최소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한국과학기술지주, ETRI 홀딩스, 미래기술지주, 대학기술지주 등 직접 투자 방식으로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추진하는 기관이 투자한 기업에 특구진흥재단에서 R&BD 자금 지원을 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특구진흥재단은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1만2000개를 만드는 방안을 골자로 한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정책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 연구개발특구에 대학, 연구소 등 핵심기관 중심의 소규모 공간 범위를 가지는 강소특구 모델을 도입하고 연구소기업을 전략적으로 확대해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해외 취업ㆍ창업도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양 이사장은 “내실있는 특구 사업 운영을 통한 직접고용으로 좋은 일자리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기술사업화 방식 중 기술출자 및 기술이전 방식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일반 기술 창업 및 기술금융을 통한 고용상승 성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특구의 재원만으로는 과학기술 기반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는 부족해 특구 내 다양한 자원 및 네트워크를 연계하는 생태계를 구축해 효과를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양 이사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과 기술 변화에 따라 제도와 규정이 새롭게 정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컬링에서처럼 기업이 드로잉하면 정부가 스위핑해 최종 목표에 도달시키는 팀워크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화 발전해야합니다. 정부의 R&D 기조도 기초 원천기술, 국민의 안전 및 생활에 직결된 것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민간이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구본혁 기자/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