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기식 철벽방어’…문재인 대통령은 왜?
[헤럴드경제=홍석희·박병국 기자] 부적절한 ‘해외 출장’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거취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청와대 내부 회의에서 입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의 긴박한 김 원장에 대한 대응 역시 문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13일 청와대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원장 거취에 대해 최근 문 대통령의 직접 언급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있지만 공개하는 건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전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질의 서한을 보낸 것이 문 대통령의 의지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여러분들이 판단해 달라”고만 답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김 원장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알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김 원장에 대한 청와대의 방어 전략은 ‘청와대의 입’ 김의겸 대변인이 전담하고 있다. 지난 주말인 7일부터 이날까지 7일동안 김 대변인은 모두 3차례에 걸쳐 ‘오후 브리핑’을 자청해 춘추관을 찾았다. 지난 9일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김 원장에 대해 검증한 결과 ‘문제 없었다’는 입장을 내놨고, 10일에는 김 원장의 사퇴설이 돌자 춘추관을 찾아 기자들에게 ‘전혀 사실 무근이다’고 다시 강조했다.

12일에는 과거 여당인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이 피감기관 비용으로 해외 출장을 다녀왔던 횟수까지 청와대는 공개했다. 중앙선관위에 4가지 질의 사항을 담아 해석을 의뢰했다는 사실을 기자들에게 알린 것도 김 대변인이다.

청와대 안팎에선 문 대통령이 ‘김기식 사태’를 ‘옳고 그름’이란 정의론에 입각해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영란법 시행 이전이고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들 역시 국회의원 대다수가 유사했음에도 김 원장에 대해서만 엄격하게 적용되선 옳지 않다는 관점이다. 여기에 ‘원칙론자’로 알려진 김 원장에 대한 비판 공격에는 금융개혁에 저항하는 일종의 ‘세력’이 있다는 관점까지 가세하며 김 원장 방어에 청와대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선관위에 해석을 의뢰한 것에 대해선 두가지 시각이 공존한다. ‘법적 문제가 없음에도 사퇴시킨다’는 명분을 쌓기 위한 절차라는 해석과 ‘문제가 없으니 사퇴도 없다’며 김 원장이 금융감독원장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업무 정당성을 확보키 위해서란 해석이다. 현재로선 ‘문제도 없고, 사퇴도 없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의중으로 읽힌다. 청와대가 선관위 질의를 보내면서 과거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피감기관 해외출장 횟수까지 공개한 것은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선관위는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전체회의 소집까지 고민 중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전체회의 소집과 해석과·조사과 해석 등 여러 사항을 놓고 고심중이다”며 “결과가 언제 나올지는 확인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