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우린 친구”에 시진핑 “수입확대, 지재권 보호” 화답
미 겨냥한 보복관세 등 언급 없어
자동차 수입 확대…트럼프 입지 강화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미국-중국간 무역전쟁의 우려가 완화됐다. 양국 정상들이 잇따라 협상의 뜻을 제시하면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화의 손길을 내밀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을 향해 “우린 영원한 친구”라고 하며 화해의 제스처를 보인 데 이은 것이다.

시 주석의 10일 보아오(博鰲)포럼 개막식 연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해온 미중 무역문제 부분에 상당 부분을 할애하며 양국 간 무역전쟁을 대화와 협상으로 풀어가겠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특히 대외개방 확대를 통해 양국 간 무역전쟁을 촉발한 무역 불균형을 시정해 가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미국의 강공에 맞불을 놓는 보복관세 등 반격조치나 강한 언사는 없었고 미국의 지적사항과 관련해 일부는 수용, 또는 반박하는 모습을 보이며 앞으로 개선하겠다는 데 중점을 뒀다. 시 주석은 특히 미국이 그동안 주요 타깃으로 공격해온 외국자본의 중국 내 자동차산업 합작 규제와 지적재산권보호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도 적극 밝혔다. 

[사진=AP연합뉴스]

시 주석의 이날 연설에서 강조된 부분은 “중국이 무역수지 흑자를 목표로 하고 있지 않으며, 진지하게 수입을 확대하고 경상수지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가 중국의 개혁·개방 40주년을 맞는 해라는 점을 내세우며 ▷시장진입 규제 완화 ▷투자환경 개선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적극적 수입 확대 방침을 강하게 천명했다. 특히 시 주석은 이날 대대적인 수입품 관세 인하를 약속했다.

그는 “올해 자동차 수입 관세를 상당히 낮추는 동시에 일부 다른 제품의 수입 관세도 낮출 것”이라면서 “중국 인민의 수요를 고려해 관련 상품의 수입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산 자동차 수입확대는 무역전쟁과 관련한 미국 내 반중 정서를 단기적으로 완화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표밭’인 중서부 ‘러스트벨트’에 혜택을 줌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입지를 강화해줄 수 있는 카드이기도 하다.

이 같은 기류라면 중국이 앞서 발표한 미국산 대두, 자동차, 항공기 등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 방침도 사실상 ‘엄포’에 그칠 공산이 커졌다.

시 주석은 시장 진입 확대를 약속하며 “서비스업, 특히 금융업의 은행, 증권, 보험 등 외자 투자 제한 조치 완화를 구체화하는 동시에 외자 금융기구의 설립 제한도 완화하고 보험업의 개방 절차를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미가입 상태인 세계무역기구(WTO) 정부조달협정(GPA)에 이른 시기에 서명하겠다고도 했다. 3조1000억 위안(528조 원)에 달하는 중국 조달물자 시장에 미국 기업의 진입을 제한할 수 있는 카드를 스스로 포기하겠다는 의미다.

그는 이어 “국제 무역 규칙에 따라 투자환경의 투명성을 제고할 것”이라면서 “올해 상반기에는 외자 투자 네거티브 리스트에 대한 수정 작업도 마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이 지속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시 주석이 미중 무역전쟁에 이처럼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한 것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항해 자유무역 수호자이자 전도사로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도 분석된다.

한편, 이에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중국은 무역장벽을 허물 것”이라며 “세금은 상호호혜적이 될 것이고 지식재산권에 대한 협상은 성사될 것”이라 밝혔다. 이어 “양국 모두에게 위대한 미래!”라며 “무슨 일이 일어나더라도 시 주석과 나는 항상 친구로 남을 것”이라며 유화 제스처를 취했다.

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