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나는 사람이다” 깊은 울림…킹 목사 서거 50주기 美전역 추모 행렬
암살현장 멤피스서 39회 타종
워싱턴DC도 수만명 추모 행진
‘킹 목사의 날’ 골프장行 트럼프
“미국인들 증오에서 해방되길” 트윗


1968년 4월 4일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의 로레인 모텔 306호 발코니. 분리주의자(인종차별주의자) 제임스 얼 레이의 총탄에 맞은 마틴 루서 킹 목사는 병원으로 옮겨지던 중 한 시간 만에 과다출혈로 39세 짧은 생을 마감한다.

그해 3월 말부터 킹 목사는 멤피스에서 1천300여 명이 참여한 청소 노동자 파업을 지원하던 중이었다. 3월 28일 멤피스 시내 청소 근로자 노조 집회를 이끌고 4월 4일에는 또 다른 집회에서 연설하고 돌아온 뒤 숙소 발코니 앞에서 얘기를 나누던 중 흉탄이 그의 머리로 날아왔다. 당시 청소 노동자들의 삶은 처참하기 짝이 없었다고 한다. 기계화된 압축기가 막 도입되던 시점이었지만 여전히 거대한 쓰레기통을 일일이들어 쓰레기차에 부어야 했다. 퇴근 무렵엔 온몸이 오물 투성이로 뒤덮였지만 변변한 샤워시설도 없었다. 청소 근로자들은 냄새가 난다는 이유로 버스 탑승을 거부당하기 일쑤였다. 급기야 멤피스에서 쓰레기 압축기 사고로 청소 직원 2명이 사망하면서 노동자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명연설을 남긴 흑인 인권 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가 1963년 워싱턴DC 링컨기념관 앞에 모인 군중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86세 청소 노동자로 60년간 근무한 멤피스 최고령 환경미화원 엘모어 니클베리는 미 일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에 “킹 목사가 아니었다면 우리는 파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니클베리는 멤피스 아메리칸 페더레이션 1733번지 노동조합 본부 앞에서 펼쳐진 킹 목사 추모 행렬에 참여했다. 그의 앞에는 ‘우리는 기억합니다’라는 사인 보드가 펼쳐졌다. 고령의 청소 근로자들은 킹 목사에게 진 빚을 갚는 행진을 시작했다고 입을 모았다. 멤피스 시내에는 이날 수만 명의 시민,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행진했다. 그들의 손에는 50년 전 청소 근로자들이 목놓아 외쳤던 것과 똑같은 구호인 ‘나는 사람이다(I Am A Man)’가 들렸다. 멤피스 추모 집회에는 대권 주자로 꼽히는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과 제시 잭슨 목사, 앨 샤프턴 목사, 존 루이스 의원 등이 참여했다.

국립민권운동박물관으로 바뀐 로레인 모텔 건물에선 킹 목사가 암살당하기 전인1967∼1968년 마지막 모습을 담은 사진 전시회가 열렸다. 멤피스에서는 10대 청소년들이 50주기 상징으로 50마일(약 80㎞) 행군을 했다. 킹 목사가 피격된 시간인 오후 6시 1분에는 39회 타종이 이뤄진다. 그의 39세 생애를 상징하는 타종 행사다. 워싱턴DC에서도 수만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행사가 열렸다. 미 전역에서 이날 킹 목사 50주기 추모 행사에 참가하는 인원은 수십만 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킹 목사 50주기에 맞춰 올린 트윗에서 “킹 목사에 대한 기억을 기리며 모든 미국인이 공포와 증오로부터 해방되길 바란다”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15일 마틴 루서 킹 데이에 별도 행사 없이 골프장으로 향해 비난을 받기도 했다. 

김현경 기자/pink@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