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선 궁궐 최고 전각에 전등, 커튼, 유리창이 있는 이유
창덕궁 인정전 1907년 순종 올때 신식으로
유네스코 유산, 4~10월 목금토 내부 개방
하루 4회 중, 첫 투어는 영어로 해설 진행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조선시대 궁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고풍스런 전각과 전통문화가 고스란히 담긴 내부의 풍모와 외양이다.

그런데, 유네스코가 한국의 궁 중에서 유일하게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창덕궁의 으뜸 전각 인정전에는 요즘 같이 전등, 커튼, 유리창이 있다. 요즘 사람들이 감히 소중한 문화재에 손을 댔을까?

창덕궁 인정전

인정전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창덕궁의 정전이자 국보 제225호이다.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중요하고 공식적인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높은 천장을 받들고 있는 중층 건물로 외관은 2층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위아래가 트인 통층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화려하고 높은 천장 중앙에는 단을 높여 구름 사이로 두 마리의 봉황 목조각이 달려있어 으뜸 공간으로서의 권위를 극대화했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 임금이 앉던 어좌

인정전 안쪽 깊숙이 임금의 자리인 어좌(御座)가 마련되어 있고 그 뒤로는 임금이 다스리는 삼라만상을 상징하는 해와 달 그리고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일월오봉병’이라는 병풍이 둘러져 있다. 어좌 위에는 닫집이라는 천장을 따로 두었는데 정교하고 섬세한 가공이 돋보인다. 닫집은 불전이나 궁궐 정전에 들어가면 불단이나 어좌 위에 만들어 놓은 작은 집 모형을 말한다.

유리창과 전등 등이 설치된 것은 조선 마지막왕 순종이 1907년 창덕궁으로 옮길 때 이뤄졌다. 실내바닥도 전돌(흙으로 구워 만든 벽돌)에서 마루로 바뀌었다. 이처럼 창덕궁 인정전은 근대적인 요소가 가미된 전환기의 궁궐이다.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소장 이문갑)는 인정전 내부를 오는 4~10월 매주 목, 금, 토요일, 하루 4차례(10:30, 11:00, 14:00, 14:30) 개방한다고 27일 밝혔다.

목,금,토요일 첫 투어(오전 10시30분 부터)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데, 오전 10시 15분부터 시작되는 창덕궁 영어 관람과 연계해 영어로 진행된다.

참가 희망자는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접수 신청하면 된다. 1회당 입장인원은 30명으로 한정하며, 비가 올 때에는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관람이 취소된다. 인정전 특별관람은 무료이며(창덕궁 입장료 별도) 더 자세한 사항은 창덕궁누리집(www.cdg.go.kr)을 방문하거나 전화(02-3668-2300)로 문의하면 된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