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소유욕 만드는 뇌 신경회로 찾았다…도벽ㆍ게임중독 치료 기대
- 수집 강박, 도벽, 게임중독 치료 단서 기대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사람의 소유욕을 제어하는 뇌 신경회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이필승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뇌의 시상하부 일부가 먹이를 획득하고 소유하려는 본능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또 이 신경을 활용해 동물의 행동과 습관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물건에 대한 욕구는 본능이기에 쉽게 조절할 수 없을뿐더러 잘못된 습관이나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물건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본능이나 정신 질환의 일종으로 분류돼 있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전시각 중추 신경회로가 소유행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제공=카이스트]

이에 이번 연구는 수집 강박, 도벽, 게임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전시각중추(MPA, Medial preoptic area)라 불리는 뇌의 시상하부 중 일부가 먹이를 획득하고 소유하려는 본능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전시각중추 신경을 활용해 동물의 행동과 습관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한 쥐에게는 장난감을 갖고 놀게 하고 다른 쥐는 따로 물체를 주지 않은 뒤 뇌를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전시각중추(MPA) 신경회로가 활성화됨을 발견했다. 광유전학을 이용해 빛으로 MPA를 자극하자 물체 획득을 위해 실험체가 집착하는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MPA신경이 수도관주위 회색질(PAG, Periaqueductal gray)로 흥분성 신호를 보내 행동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MPA-PAG’ 신경회로로 명명했다.

김 교수는 “MPA-PAG 회로를 자극했을 때 귀뚜라미 등의 먹잇감에 대한 사냥행동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며 ”이것은 물체를 갖고 노는 것이 먹이 등의 유용한 사물을 획득하는 행동과 동일한 신경회로를 통해 나타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어 소유욕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미다스’(MIDAS)로 이름 붙였다..

이필승 교수는 “미다스 기술은 동물의 탐색본능을 활용해 동물 스스로 장애물을 극복하며 움직이는 일종의 자율주행시스템”이라며 “뇌-컴퓨터 접속 기술의 중요한 혁신”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3월 1일자에 게재됐다.

bons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