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 없는’ 한국당…야당 신세 피부로
재정바닥…후보자 기탁금 지원 걱정

자유한국당이 ‘돈’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야당이 되면서 악화된 재정상황으로 코앞으로 다가온 선거를 치르기조차 버겁기 때문이다.

특히 선거보조금이 5월 말 지급될 예정이지만 5월 초 이미 재정이 바닥을 보이면서 후보들 기탁금 지원문제가 가장 큰 걱정으로 다가왔다.

8일 한국당에 따르면 후보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당 차원에서 후보자가 선관위에 내는 기탁금을 당 예산으로 대출해주지만, 재정 문제에 지원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알려졌다.

한국당은 지난해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32명의 당직자들을 내보내는 등 재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당 중앙당 관계자는 “5월 초에 재정이 거의 바닥 나는 상황인데, 돈이 없으니 선거비용이 집행이 안되고 있다”며 “기초단체장, 기탁금을 지원하는데 20억~30억원이 들어가지만 현 재정 상황으로는 여력이 안된다”고 전했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나서는 후보자는 5000만원, 기초자치단체장은 1000만원, 광역자치단체의워은 300만원을, 기초자치단체의회 의원은 200만원을 선관위에 기탁해야 된다. 득표율이 15%가 넘으면 100%를 돌려받을 수 있기에, 한국당은 후보자들의 요청에 따라 이 기탁금을 대출해왔다. 하지만 재정이 어려워지면서 기탁금 지원 여력이 되지 않게 된 것이다.

특히 선관위가 각 당에 지급하는 선거보조금이 5월말에나 나오는 것도 상황을 힘들게 하고 있다. 중앙당 관계자는 “보조금이 5월초에만 나와도 크게 문제가 없는데, 선거보조금이 후보자 기탁금을 낸 이후에 나와 더욱 힘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선거보조금은 후보등록일 마지막날인 오는 5월 25일로 부터 이틀 내에 지급하도록 돼 있다. 선관위는 총 424억원을 각당의 의석수 등에 따라 배분할 계획이다. 지난 2014년 지선에서 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은 176억원의 보조금을 지원 받았다.

기탁금 뿐만 아니다. 한국당의 재정상황은 선거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번 지선에서 한국당은 홍보전문가를 외부에서 영입할 계획이 없다. 한국당 지방선거 총괄기획단 핵심 관계자는 “돈이 없는 상황에서 이번 선거는 홍보기획사 등을 통해 치를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병국 기자/cook@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