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우디ㆍFCAㆍ르노 등 21개 차종 2만5600대 리콜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아우디와 피아트 크라이슬러(FCA) 등 수입차 21개 차종 2만5600대가 제작결함으로 리콜된다.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수입 판매한 A5 Sportback 35 TDI 쿼트로 등 13개 차종 2만3205대는 보조 히터 장치 결함으로 장치와 연결된 부분 과열돼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차량은 오는 13일부터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개선된 부품 교체) 받을 수 있다.

FCA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지프 그랜드체로키 등 2개 차종 1939대는 발전이 내 부품(다이오드) 결함으로 차량 내 전기장치에 전력 공급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전력 공급이 안 되면 시동 꺼짐이나 발전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해당차량은 8일부터 FCA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점검 후 교체) 받을 수 있다.

르노삼성이 수입해 판매한 QM3 dCi 154대는 두 가지 사항으로 리콜된다.

QM3 dCi(2017년 5월 8일~7월 19일 생산) 38대는 전조등 자동 광축 조절장치의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야간 주행 중 운전자의 충분한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는 자동차안전기준 위반으로, 국토부는 자동차관리법 제74조에 따라 자동차매출액 1000분의 1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QM3 dCi(2017년 9월28일~10월 4일 생산) 116대는 앞바퀴와 구동축 사이를 연결하는 부품(프런트 휠허브) 결함으로 주행 중 앞바퀴가 이탈돼 안전운행에 지장 줄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차량은 오는 9일부터 르노삼성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신품 교체) 받을 수 있다.

이륜차들도 리콜된다.

스즈키씨엠씨에서 수입 판매한 GSX-R1000A 등 2개 이륜차종 237대는 엔진제어장치 내 과회전 방지 제어 기능이 없어 주행 중 변속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이로 인해 동력전달장치가 손상돼 주행이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해당차량은 14일부터 스즈키씨엠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신품 교환 등) 받을 수 있다.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1290 SUPER DUKE R 등 3개 이륜차종 65대는 앞 브레이크 부품(마스터실린더 플로팅 피스톤) 결함으로 제동 성능이 떨어져 안전 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차량은 8일부터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개선된 부품 교체) 받을 수 있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된다. 만약 리콜 시행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르노삼성자동차(080-300-3000),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080-767-2834), FCA코리아(080-365-2470), 스즈키씨엠씨(031-767-3355),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02-790-0999)로 문의하면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 자동차의 결함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 제작결함정보를 수집ㆍ분석하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 ☎080-357-2500)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상시적으로 해당차량의 리콜대상 여부 및 구체적인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 할 수 있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