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추문 작가 작품 교과서에서 퇴출”여론 확산
리얼미터 505명 설문 71%가 찬성
전문가 “작품·삶 분리해서 봐야”


성폭력 피해 사실을 폭로하는 ‘미투’(Me tooㆍ나도 당했다) 운동이 확산하는 가운데 성추문에 연루된 문화예술인의 작품을 교과서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작가의 삶과 문학적 성취는 분리해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해 의견이 엇갈린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3일 전국 성인 50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국민 10명 중 7명(여성 74.0%·남성 68.2%)이 성폭력 의혹을 받는 문화예술인의 작품을 교과서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리얼미터는 ‘성폭력 의혹 인물의 작품을 가르쳐서는 안 되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답변이 71.1%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반면 같은 조사에서 ‘문화예술인의 행실과 작품의 예술성은 분리해서 봐야 하기에 교과서에 그대로 둬도 된다’는 답변은 22.5%에 그쳤다. ‘잘 모름’이란 답변은 6.4%였다.

하지만 전문가 의견은 엇갈린다.

작품은 작가의 삶과 별개로 봐야한다 한다는 시각과, 작가가 일으킨 사회적 물의를 외면할 수 없다는 시각으로 갈린다. 이같은 시각차는 과거 친일행적 등을 평가할 때도 똑같이 적용돼 왔다. 일례로 노천명, 서정주 등 친일 작가의 작품이 출판사의 자율에 따라 교과서에 수록됐다.

교육부가 출판사의 자율성을 존중한다며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전문적 판단에 근거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중고 검정 교과서 11종에 실린 고은 시인의 작품을 삭제하느냐 여부는 출판사의 재량에 달려 있다.

작가가 일으킨 사회적 물의를 외면할 수 없다는 시각 안에서도 교과서 수록 여부를 둘러싼 세부 의견은 여러가지로 나뉜다. 친일작가의 작품의 경우, 크게는 무조건 삭제하고 가르치지 않는 쪽과 관련 논란까지 교육과정에 포함해 가르치자는 쪽으로 의견이 갈린다.

지난해 11월 문학 전문 온라인매체 문학뉴스가 국민 1092명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실린 친일 작가의 작품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5명 중 4명(80.9%)이 삭제나 보완 및 고발이 필요하다고 봤지만 세부적인 방식에는 차이를 보였다.

해당 조사에서 응답자의 53.2%는 단순 삭제하기보다는 작품의 배경 또는 작가의 논란 행적을 함께 교육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치부를 치부로써 가르치자는 시각이다. 응답자들 가운데는 ‘그대로 둔 채 배경을 알려주자’는 의견이 46.6%, ‘적극적인 친일 작품도 실어서 이를 알려야 한다’는 답변이 6.6%로 나타났다. 반면 교과서에 실린 친일 작가의 작품을 ‘무조건 삭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27.7%였다. ‘작품의 완성도를 따져 그대로 두자’는 의견은 19.1%로 나타났다.

한편 성추문에 연루된 이윤택의 ‘햄릿’, 오태석 ‘태’는 교과서에서 삭제될 예정이다. 그러나 10여편이 교과서에 수록된 고은의 작품은 삭제 결정을 한다고 해도 각각의 대체 작품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유진 기자/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