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무 UNIST 교수팀 규명
당뇨병은 당장 드러나는 문제는 없지만 방치할 경우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무서운 질병이다. 특히 ‘당뇨병성 신증’은 치료제도 없고 조기예측도 어려워 늘어나는 당뇨병 환자를 크게 위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권혁무 교수팀은 당뇨병 때문에 신장이 망가지는 ‘당뇨병성 신증’의 원인 유전자를 찾아내고, 발병원리를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당뇨병 초기에 신장질환을 예측할 수 있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신약 개발도 가능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 당뇨병 환자는 500만명에 이르며 그 숫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다. 환자들의 연령대를 분석해보면 성인의 13.7%, 65세 이상 노인의 30.4%를 차지한다. 어른 10명 당 1명이, 노인 3명 당 1명이 당뇨병을 앓는 셈이다.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이 10년 이상 진행되면서 나타난다. 당뇨병 환자 셋 중 하나는 이 질환에 걸린다.
당뇨병성 신증은 적절한 치료제가 없고 발병 초기에 예측도 불가능해 적절한 예방책이 전무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당뇨병 초기에 어떤 변화가 신장 손상으로 이어지는지 살폈다. 당뇨병에 걸린 실험쥐를 살핀 결과, 높은 혈당이 면역세포(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유발하면서 신장이 손상된다는 걸 알아냈다. 체내 혈당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면, 몸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침투한 것처럼 인식한다. 이때 대식세포는 침투세력을 공격하는 염증반응을 시작하며 이동성도 높아진다. 그 결과 대식세포가 신장으로까지 침투하면서 정교한 신장조직을 망가뜨린다.
연구팀은 고혈당이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유도해 신장을 손상시키는 전반적인 과정에 ‘톤이비피(TonEBP)’라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당뇨병에 걸린 실험쥐에서 톤이비피 유전자를 제거하자 신장질환이 나타나지 않았던 것.
권혁무 교수는 “신증이 없는 당뇨병 초기 환자에게서 혈액을 채취한 후 여기서 면역세포를 분리해 톤이비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면, 당뇨병성 신증 발병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톤이비피를 표적으로하는 당뇨병성 신증 예방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신장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신장의학회지’ 2월호에 출판됐다.
구본혁 기자/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