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화재 인명피해 3년 간 ↑…사망사고ㆍ방화 가장 많아
-최근 3년 간 화재 사망자 104명 기록
-3명 중 1명은 방화ㆍ방화 의심에 숨져
-단독경보형감지기ㆍ소화기 설치 필수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최근 3년 간 서울 시내에서 화재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계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내놓은 ‘최근 3년 간 화재ㆍ인명피해 통계’에 따르면, 2015~2017년 화재 사상자는 사망 104명, 부상 704명 등 모두 808명이다. 연도별로는 2015년 249명, 2016년 276명, 지난해 283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2015년 27명, 2016년 40명, 지난해 37명으로 집계됐다. 재산 피해는 2015년 143억3000만원, 2016년 141억2000만원, 지난해 153억3000만원이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최근 3년 간 화재 사망자 104명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원인 미상’이 34명(32.7%)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원인을 파악한 화재 중엔 ‘방화와 방화 의심’이 33명(31.7%)으로 확인됐다. 이어 ‘부주의’ 20명(19.2%), ‘전기적인 요인’ 16명(15.4%), ‘가스 누출(폭발)’ 1명(0.9%) 순으로 나타났다.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방화는 휘발유 등 가연성 액체를 쓸 때가 많아 빠른 대피가 힘든데다 방화 피의자들은 주변인을 대피시킬 의지도 없어 인명 피해가 유독 많다”고 설명했다.

사망 원인은 유독가스 연기흡입을 동반한 화상이 76명(73.0%)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화상 17명(16.3%), 피난 중 뛰어내림 5명(4.8%), 복합 원인 3명(2.8%),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1명(0.9%), 기타 1명(0.9%), 미상 1명(0.9%)으로 각각 파악됐다.

사망 장소로는 사망자 대부분인 79명(75.9%)이 주거시설에서 생을 마감했다.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이 43명(54.4%)으로 가장 많고 공동주택 34명(43.0%), 기타 2명(2.5%) 순이었다.

계절별로 보면 겨울 36명(34.6%), 봄 29명(27.9%), 가을(25.9%), 여름 12명(11.5%)으로 각각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9명(27.8%)으로 가장 많았다.

또 시간대별로는 자정~오전 2시 16명(15.3%), 오후 10시~자정과 오전 4~6시 각각 11명(10.6%)으로 분석된다.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에는 48명(46.1%)이 사망했다. 심야 시간대에 사망자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은 수면 등에 따라 화재 대처능력이 떨어진 탓으로 보인다.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화재 피해를 줄이려면 불이 났을 때 경보로 알려주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소화기 설치가 필수”라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