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험의 외주화 막는다…다음달부터 '산재 통합관리제'
[헤럴드경제=이슈섹션] 하도급이라는 이유로 산업재해의 위험성을 떠안아야 했던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 새해부터 원청과 하청의 재해를 통합 관리하는 제도가 시행된다.

고용노동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제조ㆍ철도ㆍ지하철 업종 가운데 원청의 상시 근로자 수가 1,000 명 이상인 사업장 119곳을 대상으로 원·하청 산업재해 통합관리제도를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제공=연합뉴스]

통합관리제도는 원청의 책임을 산재 지표에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원청의 지표에 원청 사업장에서 작업하는 하청 근로자의 산재를 포함해 사고사망 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사망자 수 비율) 등을 산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2019년부터는 500명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 실시된다.

앞서 고용부는 내년 통합관리제도 시행 예정인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장 설명회와 방문 실태ㆍ설문 조사를 하며 준비를 지원해왔다.

설문조사(119곳 중 110곳 응답) 결과 106개 사업장이 통합관리할 준비가 돼있다고 응답했다. 이 제도를 아느냐는 질문에 83곳(75.4%)이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또 하청의 재해 현황 파악 여부를 묻는 항목에 ‘잘 파악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82.7%(91곳)로 높았다.

고용부는 내년 3∼4월 대상 사업장의 통합관리실태를 집중적으로 점검해 제도의조기 정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