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초구, 주거ㆍ상업복합 구청 건립 추진…편익 1조2577억원 전망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서울 서초구(구청장 조은희)가 신청사 개발에 시동을 건다.

구는 지난 13일 제19차 서울시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에서 서초구청사 복합개발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안)‘이 수정가결됨에 따라 복합청사 개발을 본격 출발궤도 위에 올린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구청사가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되고 향후 세부개발 계획 수립 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이 상향되면서, 당초 구가 그린 개발계획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구는 단순 공공청사 기능을 넘어 공공임대주택, R&D 등 업무시설, 문화공간이 들어서는 신개념 공공청사를 구상하고 있다. 서울시 자치구 중 처음으로 구청사를 임대주택과 업무, 상업시설이 있는 20만㎡ 규모 복합청사로 개발한다는 게 구의 계획이다. 



서울 서초구청 신청사 조감도. [사진제공=서울 서초구]




구체적으로는 ▷청년주거 등 확보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직장ㆍ국공립 어린이집 ▷육아종합센터, 공공도서관, 창업지원센터 등 지역필요시설 ▷오피스ㆍ근생시설 등을 조성할 방침이다.

구가 수탁기관에 사업비용을 조달해 개발한 후 수익금을 활용, 사업비를 상환하는 위탁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는 복합청사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예산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가능한 작업이라고 구는 설명했다. 구 자체 분석을 보면 이 같은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할 시 모두 1조2577억원의 편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서울시에게 소유권을 이전받은 현재 구청사 부지에 대한 2015년 이전 당시 공시지가 적용시 1885억원 ▷청사건립기금 적립액 1030억원 ▷복합개발 공사비 7559억원 ▷현재 제3종일반주거지역을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상향에 따른 공시지가 상승분 2103억원 등을 모두 합산한 금액이다.

앞서 지난 2015년 서초구청사 부지가 국토교통부의 ’노후 공공건축물 리뉴얼 선도사업‘에 선정되며 공공시설에 주민편의시설뿐 아니라 수익시설까지 들어설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에 더해 지난 5월 서울시가 발표한 ’2030 서울시 생활권 계획‘ 이후 이 지역이 기존 양재지구중심에서 3도심(한양도성, 강남, 영등포ㆍ여의도) 중 하나인 강남도심으로 격상되는 등 도시계획 여건상 변화도 있어 원활한 사업진행에 힘이 실리기도 했다.

구는 앞으로 2018년 행정안전부에 타당성조사를 신청하고, 2020년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세부 개발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한편 구청사 현 부지는 구가 지난 1988년 강남구에서 분구한 이후 29년(건물준공후 27년)이 지나 협소하고 노후돼 공공기능 제공에 한계가 있어 신축에 대한 필요성이 거론돼 왔다.

조은희 구청장은 “다양한 주민편의시설을 갖춘 신개념 공공청사로 조성하면서도 세금 한 푼 들이지 않고 가능한 착한 사업의 표본”이라며 “앞으로 공공청사 복합개발의 선도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