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관계자 “美, 대북 해상차단ㆍ원유공급 중단에 집중할 듯”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미국을 방문 중인 정부 고위관계자는 29일(현지시간)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국이 대북 해상 수송차단과 원유공급 중단에 집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대북 추가제재가 가능한 분야가 많지 않다”면서 “해상 차단과 송유 문제가 가장 큰 덩어리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이번 도발에 대한 미국의 대응을 놓고 “미국은 북한이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어 침착한 반응을 보였다. 엄청나게 놀라운 일은 아닌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아울러 “군사옵션을 배제하지 않는 것이 다른 (평화적) 조치의 신뢰성을 높인다는 것이 미국의 판단”이라며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평화적 해결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고 한 만큼 당분간 (군사옵션 카드가) 하나의 행동으로 고려될 것 같지 않다”고 관측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이 대북제재 강화 방안으로 “해상 차단의 경우 여러 형태가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갈지, 그리고 미국이 국내적으로 할지 아니면 안보리 결의안에 녹일지 등에 대해 고민하는 것 같다”고도 설명했다.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의 경우 기본적으로 유용한 카드이긴 하지만 중국이 북한 체제의 근간은 흔들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수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의 ‘레드라인’은 미 본토에 대한 위협을 직접 느끼는 순간이 될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의 미사일 능력이 무시 못 할 정도로 위협이 되고 있다고 확실히 인식하고 있다”고 전했다.

향후 북미협상에서 미국이 자국이익을 위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만 동결할 수 있다는 지적에 이 관계자는 “미국은 누구보다 한반도 비핵화를 강조하고 있고, 협상 동력이 생겼을 때 이를 완전히 해놓지 않으면 위협이 재발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절대로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