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치보복’ 논란 심화, 문 대통령 상승세 꺾여
- 4주간의 상승세 꺾여…민주당 소폭 하락, 한국당 반등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최근 국군 사이버사 선거개입 혐의를 받고 있는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과 임관빈 전 국방부 국방정책 실장이 석방되면서 보수성향의 유권자들이 결집함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27~29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12명에게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을 물은 결과(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 ±2.5%포인트, 그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전주 대비 1.8%포인트 내린 71.2%(매우 잘함 48.5%, 잘하는 편 22.7%)로, 지난 4주 동안의 상승 흐름이 꺾였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2.5%포인트 오른 23.9%(매우 잘못함 12.5%, 잘못하는 편 11.4%)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국군 사이버사 선거개입 혐의’를 받고 있는 김 전 장관과 임 전 실장이 석방되면서 27일 일간집계에서 72.5%(부정평가 21.7%)로 내린 데 이어, 심재철 한국당 의원의 ‘文대통령, 내란죄 형사고발’ 주장이 논란을 일으켰던 28일에도 70.4%(부정평가 24.8%)로 하락했다. 북한의 ‘화성-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있었던 29일에는 71.0%(부정평가 24.5%)로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호남과 40대에서는 올랐으나, 충청권과 경기ㆍ인천, 부산ㆍ경남ㆍ울산(PK)과 대구ㆍ경북(TK), 60대 이상, 보수층에서는 내렸다.

한편 정당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역시 51.3%로 소폭 하락하며 지난 2주 동안의 상승세가 꺾인 반면, 자유한국당은 충청권과 수도권, TK, PK, 60대이상, 보수층을 중심으로 지지층이 재결집하며 18.6%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과의 정책연대협의체에서 ‘예산안 부결 공조’ 가능성을 시사했던 바른정당은 5.1%를 기록하며 2주째 완만한 내림세가 지속됐고, 지난주의 ‘김종대 논란’ 여파가 이어졌던 정의당 또한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이탈하며 4.7%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호남 초선 의원들의 ‘통합 논의 중단’ 입장 표명 속에 당내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국민의당은 4.7%로 지난주에 이어 횡보하며 정의당과 함께 4주째 최하위에 머물렀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