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퇴임 앞둔 감사원장…감사원장 공백사태 오래갈까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황찬현 감사원장이 4년간의 임기를 끝내고 내달 1일 퇴임한다. 황 원장의 퇴임을 닷새 앞두고 있지만 새 감사원장 후보자가 지명되지 않은 만큼 감사원은 한동안 원장 대행체제로 운영될 전망이다. 감사원장은 국회의 임명동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장고 끝에 감사원장 후보자를 지명해도 국회의 임명동의 과정에서 여야의 정밀 검증 및 공방, 나아가 야권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공세가 전망된다. 특히 청와대가 지난 22일 ▷병역면탈 ▷부동산투기 ▷탈세 ▷위장전입 ▷논문표절 ▷성 관련 범죄 ▷음주운전 등 ’7대 비리‘ 당사자의 고위공직자 임용 배제 원칙을 발표한 만큼, 감사원장 임명을 두고 여야 정치권의 공방은 한층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지난 21일 야당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임명을 강행하자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협치는 끝났다”고 선언한 바 있다.

감사원은 12월 1일 황 원장의 퇴임식을 준비하면서 ’수장 공백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황 원장이 퇴임하면 감사원법에 따라 유진희 수석 감사위원이 원장 직무를 대행한다. 후보자 지명에 이어 국회 인사청문회와 인준표결, 임명까지는 한 달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정권교체, 국회의 인사 검증 등으로 ’감사원장 장기공백 사태‘가 빚어진 사례는 수차례 있어왔다.

1997년 12월 이시윤 감사원장(16대)이 퇴임한 뒤 김대중 정부가 출범했지만, 후임인 한승원 감사원장(17대)은 이듬해 8월이 돼서야 국회로부터 임명동의를 받을 수있었다. 2010년 10월에는 김황식 감사원장(21대)이 국무총리에 취임하면서 후임으로 정동기 후보자가 지명됐으나 국회 청문회에 앞서 낙마했고, 이듬해 3월에야 양건 원장(22대)이 취임했다.

황찬현 원장 역시 전임 양건 원장이 인사외압 등 논란으로 임기 도중 사퇴하고 나서 3개월여 만에 취임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