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관석 의원 “인천시장 주요 공약 지연ㆍ포기ㆍ변질” 지적 눈길
-23일 인천시 국정감사장에서 날선 비판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 민선6기 유정복 인천시장의 주요 공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장에서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윤관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남동을<사진>)은 23일 진행된 인천광역시 국정감사에서 “지난 2014년 박근혜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임을 강조하며 ‘힘 있는 시장’을 내세운 유정복 시장의 주요 공약들이 지연, 포기, 변질로 얼룩져 있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이 지난 지방선거 당시 유 시장이 제시한 매니페스토 자료와 시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약이행사항 관리카드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경인전철 지하화, GTX B노선, 7호선 청라연장, 제3연륙교,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외국인투자, 기업유치, GCF 등 주요공약 대부분이 지연되거나 변질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약별로 살펴보면, 유 시장은 선거 당시 GTX연계 경인전철 지하화 사업 예산을 약 8조8000억원으로 책정하고 사업 완수 기한을 오는 2020년까지로 공약했으며 GTX노선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종착지를 강남으로 변경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GTX B노선 사업은 오는 2025년으로 사업기간이 지연됐으며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강남노선이 아닌 청량리 노선으로 선정됐다.

더욱이, 경인전철 지하화사업은 GTX연계 추진은 이원화로 변경됐으며 사업 추진시기를 유 시장 임기 이후인 오는 2021년 이후로 미뤄 사실상 공약추진을 포기했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와 일반도로화, 통행료 폐지 공약의 경우 선거 당시 중앙정부와 협의해 국비 확보로 오는 2020년까지 추진하겠다고 했으나,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2025년, 일반화 2026년으로 추진 기한이 지연됐다.

더욱이 통행료 폐지 공약은 지하화 사업이 민간자본 투자유치 사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기존 보다 약 2배의 통행료(900원→1700원)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7호선 청라 연장과 제3연륙교 개통 역시 2022년을 기한으로 제시했으나, 각각 2026년, 2024년까지로 사업 추진 시기가 지연됐다.

윤관석 의원은 “유정복 시장이 박근혜 비서실장 출신, 힘 있는 시장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실적은 떨어지고 인천 발전 비전은 상실한 상황”이라며 “3년 반이나 인천 시정 책임져 왔는데, 지연, 포기, 변질로 얼룩진 공약 미이행 사항에 대해 반성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