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AG경기장, 매년 110억 적자 운영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2014인천아시안게임 신설 경기장들이 연간 100억원대의 운영 적자를 내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재원(경북 상주ㆍ군위ㆍ의성ㆍ청송) 의원은 23일 인천시 국정감사에서 “2014인천아시안게임 16개 신설 경기장 건설에는 국비 4671억원을 포함해 총 1조5144억원이 투입됐다”며 “그러나 대회가 끝난 후 운영 적자 규모는 최근 3년간 334억원에 달했으며 올해도 약 1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고 지적했다.

경기장별로는 열우물테니스ㆍ스쿼시경기장 57억원, 문학박태환수영장 53억원,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ㆍ연희크리켓경기장 51억원, 송림체육관 39억원, 계양체육관ㆍ아시아드양궁장 37억원, 강화고인돌체육관ㆍ아시아드BMX경기장 28억원 등의 순으로 적자 폭이 컸다.

지출 대비 수익률은 16개 경기장 중 8개 경기장이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유지ㆍ관리 비용으로 100원을 투입하면 50원의 수익도 올리지 못하는 경기장이 절반에 달하는 셈이다.

지출 대비 수익률이 가장 낮은 곳은 강화고인돌체육관(11%)이고 옥련국제사격장(26.3%), 계양체육관(37.3%), 열우물테니스경기장(45.9%), 문학박태환수영장(47.6%) 순이다.

김 의원은 “인천시는 뒤늦게 이들 경기장의 사후활용을 위해 외부 전문기관에 분석을 의뢰해 공공체육시설 활성화 계획을 세웠지만, 16개 경기장의 264개 수익시설 중 60개는 여전히 비어있다”고 지적하면서 “막대한 혈세를 투입해 건설한 경기장들이 방치돼선 안되고 공공체육시설로서 사용료나 임대료를 과도하게 높이는 방법이 아니라 공공성과 수익성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경기장 활성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