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네서점 계속운영 67.6% vs 온라인서점 더 좋아 56%
[헤럴드경제(수원)=박정규 기자]경기도내 지역서점 주인 10명중 7명은 서점을 계속 운영할 의향이 있지만, 지역 주민들은 동네서점보다 온라인 서점을 더 선호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도는 23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지역서점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기도 책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7월 10일부터 8월 8일까지 경기도 소재 293개 서점(140표본)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8월 23일과 24일 이틀 간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내 서점운영자들은 국내 출판유통업 발전가능성에 대해 2016년 100점을 기준으로 3년 후인 2019년에는 63.1점, 본인이 운영 중인 서점은 54.5점까지 낮아질 거라고 평가하는 등 부정적으로 인식하지만 ‘67.6%’는 서점 운영을 지속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지역 주민의 ‘74.7%’는 온라인 서점에서 책 구매 경험이 있으며 지역 서점(22.3%)보다 온라인 서점(56%)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은 지역서점을 방문(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보유도서의 종류와 수가 적어서(51.6%)를 꼽았다.

경기지역 서점 유형은 대부분 종합서점 형태(82.1%)로 나타났으며 매장 평균규모는 64.7평, 도서매장 비율은 94.3%로 나타났다. 취급 도서는 초중고 학습 참고서가 56.8%, 입지는 복합상가가 22.9%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74.3%가 출판물 관련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매출 절반이상인 57.5%는 학습참고서가 차지했다. 구매자의 대부분은 일반소비자(89.1%)였으며, 도서관·학교·관공서 등 단체 구매자가 10.9%로 나타났다.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는 도서정가제가 16.4%로 1순위를 차지했다. 서점인증제(15.7%), 서점홍보마케팅지원(13.6%), 희망도서 바로대출 서비스(13.6%)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주민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8.7%’가 대형서점을 제외하고 지역서점 방문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방문 회수는 ‘3개월에 1~2회(30.2%)’가 가장 많았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