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7 국감]공무원 육아휴직 사용, 10명 중 1명 꼴…남성은 100명 중 3명
- 남녀 육아휴직 사용률 11배 差
- 육아휴직 사용률 꼴찌는 경찰청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정부 부처의 육아 휴직 사용률이 최근 3년간 10명 중 1명에 그쳐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의원(강동 갑ㆍ행정안전위원회)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2014~2016) 정부부처의 육아휴직사용률은 평균 13%로, 2014년 12.4%, 2015년 13.1%, 2016년 13.5% 등 매년 증가 추세이긴 하나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휴직대상자 10명 중 1명만 육아휴직을 쓰는 것이다.

각 부처별로 보면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은 부처는 여성가족부로 31%였다. 이어 병무청(26.7%), 교육부(21.7%), 식품의약품안전처(21.2%), 국세청(21.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경찰청은 5.3%로 가장 낮았다. 경찰청에 이어 국민안전처(5.5%), 해양수산부(6.6%), 농촌진흥청(6.6%), 산림청(6.6%), 특허청(7.5%), 문화재청(7.9%) 순으로 저조했다.

남녀간 육아휴직 사용은 더 크게 벌어졌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평균 3%(2.9%)에도 미치지 못했다. 연도별로 2014년 2.3%, 2015년 2.9%, 2016년 3.4%로 점차 높아지고 잇지만, 여성 육아휴직 사용률이 평균 32.3%인 것에 비하면 11배 가량 차이가 난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여성가족부(7.8%)였다. 방송통신위원회(6.7%), 국세청(5.7%), 국가인권위원회(5.7%), 공정거래위원회(4.9%), 방위사업청(4.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에 가장 낮았던 부처는 농촌진흥청(0.9%)과 산림청(0.9%)이었다. 경찰청(1.1%), 통계청(1.2%), 조달청(1.2%), 국가보훈처(1.3%) 등이 저조했다.

여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감사원(42.4%), 여성가족부(42.2%), 국세청(41.5%), 교육부(41.3%), 병무청(40.4%) 순으로 높았다. 반면 문화재청(19.6%), 농촌진흥청(22%), 특허청(22.3%), 행정자치부(25.1%) 순으로 낮았다.

육아휴직은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신청, 사용하는 휴직으로 근로자의 육아부담을 해소하고 계속 근로를 지원함으로써 근로자의 생활안정 및 고용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이다. 올해 9월부터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의 하나로 공무원은 휴직 후 첫 3개월 동안은 통상임금의 80%(상한 150만원, 하한 70만원) 수준의 2배 인상된 휴직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진선미 의원은 “사회적으로 모범이 돼야 할 공공기관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공무원 육아휴직수당 인상으로 향후 육아휴직 사용률 증가를 기대해보겠지만,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국민 대다수는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 직장 분위기를 꼽았다”며 “부처 내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으면 육아휴직제도는 제대로 활용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