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환율조작국 모면…대북공조 위해?
-트럼프 취임때부터 “지정” 공언
-사실상 무산…관찰대상국 재지정

중국이 환율조작국 지정을 또다시 피했다.

미국 재무부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주요 교역국 환율정책 보고서’(이하 환율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했다. 중국과 함께 한국, 일본, 독일, 스위스 등을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했지만,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 국가는 한 곳도 없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작년 대선 때부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무역 마찰보다는 중국과의 대북공조에 힘을 쏟을 때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며 북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중국과 협력하려는 상황에서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에 대한 언급이 완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무부가 지난 4월과 이번 반기 보고서에서 두 번 연속 중국을 환율조작국 명단에 올리지 않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환율조작국 지정 위협은 사실상 없던 일이 됐다.

재무부의 이번 환율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지난해 7월부터 올 6월까지 3570억 달러에 이르지만,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상반기 GDP의 1.4%로 지난해 1.8%보다 줄어들었다. 또 재무부는 중국이 최근 외환시장 개입과 자본 통제 강화, 기준환율 설정의 재량 확대 등으로 무질서한 위안화 절하를 막았다고 평가했다.

이혜미 기자/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