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7 국감]애완견 사료도 ‘무역적자’
-반려동물 사료 수입금액 7000억원, 수출금액 600억원으로 11.5배 차이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반려동물 돌봄 인구 1000만 시대가 열린 가운데, 지난 4년간 국내 반려동물 사료가 7000억원 가량 수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반려동물 사료 수출입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국내에 수입된 반려동물 사료가 6918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2014년부터 반려동물 사료의 수출 대비 수입은 계속해서 증가추세다. 2014년 수출 대비 수입 물량과 금액을 비교해보면, 각각 6.5배, 10.0배에서 꾸준히 상승해 2016년에는 8.1배, 12.7배를 기록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15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2010년 전체 가구의 17.4%에서 지난해 21.8%로 빠르게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을 돌보는 인구도 1000만명을 넘었다.

이에 따라 국내 반려동물 사료시장 규모도 2011년 2000억원에서 올해 8000억원대로 성장한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급속도로 성장하는 반려동물 사료시장에서 수입사료가 국내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수입 브랜드 대부분이 프리미엄 제품과 유기농 제품인데, 국내업체는 중저가품 위주로 생산, 판매되어 반려동물 인구의 기호변화 등 시장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철민 의원은 “반려동물 돌봄인구가 천만명을 돌파함에 따라 국내 반료동물 사료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 대비 수입사료의 물량과 금액이 점점 더 높은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반려동물 사류의 수입에 따른 외화 낭비를 억제하고 국내 반려동물 사료산업의 육성하기 위해서라도 국내 사료산업 기술 지원을 확대해 수입 사료가 잠식한 국내 시장 상황을 개선하고, 연간 6천 6백톤에 불과한 수출량도 확대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과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