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합? 연대? 정계개편, 얼굴따로 허리따로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보수대통합이냐, 중도 정책연대냐.’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사이에서 통합 혹은 연대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지만 각 당 내부는 따로 노는 형상이다. 정부ㆍ여당의 독주를 막기 위해 뭉쳐야 한다는 필요의식에는 동감했지만, 노선 정리가 완벽하게 되지 않은 상황이라 힘을 합치는 문제에선 크고 작은 파열음을 내고 있다.

당의 얼굴이 움직임을 보인 쪽은 바른정당 쪽이다. 대선 후보였던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대선 이후 처음 ‘선거구제 개편 토론회’에서 만났다. 두 대표 모두 ‘정치적 연대’에는 거리감을 드러냈지만, 유 의원은 “입법이든 예산이든 국당과 협조할 부분 있다면 협조하겠다”며 가능성을 열었다.


대표적 자강파인 하태경 바른정당 최고위원도 앞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중도ㆍ보수 혁신세력이 어깨를 걸고 정치판에 큰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며 어려운 길에서 굳게 손을 잡고 다음 대선까지 같이 가서 큰 변화를 이뤄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나 당을 받치는 허리는 생각이 다르다. 바른정당 내 두 기둥 중 하나지만 비교적 뒷선에서 당을 받치던 김무성 의원은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과 만나 통합론에 불을 지폈다. 김영우 바른정당 최고위원 등 몇몇 3선 의원도 한국당 3선 의원과 만나 공연히 통합을 외치고 있다.

대표적인 통합파인 황영철 바른정당 의원은 한 라디오에서 “완전히 하나가 된 보수당으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며 “당내의 당대당 통합 논의가 성숙하지 않는다면 통합파 의원들이 따로 어떤 결단을 해야 하지 않을 까란 생각도 있다”고 했다. 유 의원이 ‘설득해보겠다’고 했으나, 두 노선 사이 심리적 간극은 충분히 크다.

바른정당에 열렬한 구애를 하고 있지만, 한국당 쪽도 사정이 복잡하긴 마찬가지다. 새누리당 시절 한국당ㆍ바른정당으로 분당됐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란 불화의 씨앗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앞서 혁신위에서는 박 전 대통령 및 몇몇 친박 의원의 출당 문제를 주장해 바른정당과의 통합 명분쌓기에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 구속 만기시점이 다가오고 친박계 의원이 뭉치면서 한국당 내 청산작업은 점점 미뤄지는 형국이다.

김태흠 최고위원과 김진태 의원 등 일부 친박계들은 앞서 ‘부정한 탄핵’을 강조하며 탄핵의 단초가 됐던 태블릿PC가 증거능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신혜원 씨가 최순실 씨의 소유로 알려졌던 태블릿PC를 본인이 사용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홍 대표도 “구속영장을 재발부하는 것은 너무 과하다는 느낌”이라며 온건한 자세를 취했다. 애매모호한 모양새에 바른정당 입장에서는 박 전 대통령과 관계 청산이라는 통합의 명분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국민의당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안 대표가 전당대회에 나오면서 ‘막말 전쟁’으로 까지 번진 불협화음의 잔재가 아직도 당을 하나로 못 모으고 있다. 대표가 말해도 듣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국민의당 관계자는 “바른정당과 만나고 하는 것은 그냥 하고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며 “안 대표가 미래권력이 될 수 있을까란 의구심이 있기에 입지가 약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3당의 입장도 당내의 입장도 모두 다른 가운데, 바른정당 의원들은 각개전투로 한국당ㆍ국민의당 의원들과 접선하고 있다. 11일 오전에는 김무성 의원과 정진석 의원이 ‘열린토론미래’로 정기모임을 가졌고, 오후에는 두 당의 3선 의원이 두 번째 회동을 할 예정이다. 3선 회동을 주최한 김 최고위원은 “지난번 모였던 3선 의원이 모여 보수혁신과 대통합을 위한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