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드 안받습니다’ 서울시내 대학 51곳중 50곳, 기숙사비 현금만 받아
-더민주 김병욱 의원 “학생들 막중한 부담” 지적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서울시내 대학 51곳 가운데 단 1곳만이 기숙사비를 카드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50곳에서는 오로지 현금만으로 대학 기숙사비를 받아 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성남시 분당을)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서울 소재 대학 기숙사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 51개 기숙사 중 단 1곳인 개신대학원대학교만이 카드결제를 허용했다. 나머지 대학 50곳의 기숙사는 현금결제만 가능했다. 현금 분할결제를 허용하고 있는 곳은 건국대, 서강대, 홍익대 등 13곳뿐이었다.


교육부는 지난 2015년 7월 ‘대학 기숙사비 납부 방식 개선안’을 발표한 바 있다. 개선안에 따르면 학생들은 신청한 횟수(2∼4회)에 따라 기숙사비를 분할해 결제할 수 있고 계좌이체 등을 통한 현금 납부와 카드 납부도 가능하다.

김병욱 의원은 “2년이 지난 올해 서울 소재 대학의 기숙사비 납입 가능 수단을 살펴본 결과 교육부의 권고는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기숙사비 납부는 대부분 학기 초에 등록금 납입기간과 겹치게 되는데, 이는 학생과 가계의 목돈 비용 마련 부담을 초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들은 기숙사비 납부 방식의 다양화를 외면하고 있어 학생들만 가중한 부담을 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교육부는 권고 조치뿐인 개선안 이외에도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한다”이라고 지적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