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에 ‘EMP’彈 있다면 우리에겐 ‘정전 폭탄’ 있다
-유사시 北전력망 무력화
-내년 예산에 반영되면 ‘항공기형·폭탄형’ 개발착수 가능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북한의 ‘EMP’(전자기펄스)탄(彈) 공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군 당국이 유사시 북한의 핵미사일 기지로 송전되는 전력망을 일거에 무력화시킬 수 있는 탄소섬유탄 개발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설명=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차 핵실험을 앞두고 ‘핵무기 병기화 사업’을 현지 지도했다고 조선중앙TV가 3일 보도했다. 매체는 실물로 보이는 탄두를 공개하며 “전략적 목적에 따라 고공에서 폭발시켜 광대한 지역에 대한 초강력 EMP 공격까지 가할 수 있는 다기능화된 열핵전투부”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탄소섬유탄은 발전소 상공에서 터트려 전력망을 단락시키는 무기로, 전도가 높은 니켈과 탄소섬유를 결합해 만든 자탄(子彈)으로 상대방의 전력망을 파괴하는 일명 ‘정전폭탄(Blackout Bomb)’으로 불린다. 정전 효과는 최대 12시간 이상 지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국방예산에 탄 개발 예산만 반영되면 즉각 개발할 수 있는 최종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관측된다.

군의 한 고위 소식통은 8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진행해온 탄소섬유탄 개발 기술이 모두 확보됐다”면서 “언제든지 탄을 개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고밝혔다.

ADD가 개발한 기술은 항공기 투하용 및 폭탄형 두 종류를 모두 개발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내년 국방예산안에 탄소섬유탄 개발비 5억원을 반영했으나 최근 기획재정부 심의에서 전액 삭감됐다.

군의 한 관계자는 “탄소섬유탄 개발 기술이 모두 완료됐기 때문에 삭감된 예산을 국회 심의 과정에서 살리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핵미사일을 탐지·추적·격파하는 일련의 작전개념인 ‘킬 체인’의 핵심전력 가운데 하나인 탄소섬유탄은 발전소 상공에서 터트려 전력망을 단락시키는 무기이다.
북한이 괌을 포위 사격하겠다고 위협한 화성-12형 중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장면. 사진제공=조선중앙통신

전도가 높은 니켈과 탄소섬유를 결합해 만든 자탄(子彈)으로 상대방의 전력망을파괴하는 일명 ‘정전폭탄(Blackout Bomb)’으로 불린다. 정전 효과는 최대 12시간 이상 지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기에서 투하되는 폭탄이나 자주포에서 발사하는 포탄, 함정에서 발사하는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등에 각각 탄소섬유 자탄을 집어넣어 유도장치에 의해 공중에서 폭발시키면 니켈이 함유된 탄소섬유가 무수히 방출돼 송전선에 걸리게 되며 이때단락 현상이 일어나 정전이 되는 원리다.

탄소섬유가 달라붙어 전력망에 갑자기 과부하가 걸리면서 각종 전기·전자 장비가 고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코소보전쟁 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나토) 군이 유고슬라비아 전력공급 시스템을 파괴하려고 이런 종류의 폭탄을 사용,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공급되는 전력의 70%를 차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전역에 7천여개 이상의 지하 군사기지를 구축해 놓고 있어 유사시 대형 발전소 상공에서 이 폭탄을 터트리면 전력공급 차단으로 상당수의 지하요새가 무력화될 것으로 군은 분석하고 있다.
군의 한 고위 소식통은 8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진행해온 탄소섬유탄(일명 정전폭탄) 개발 기술이 모두 확보됐다”면서 “언제든지 탄을 개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고 밝혔다.[그래픽=연합뉴스]

한편, 북한의 핵 무력 완성이 거의 종착역에 이른 가운데, 핵 폭탄을 공중에서 폭발시키는 EMP탄 공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앞서 북한 매체 조선중앙TV는 지난 9월3일 6차 핵실험 직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핵무기연구소 시찰을 보도하며 EMP 기술을 과시한 바 있다. 통신은 보도에서 실물로 보이는 탄두를 공개하며 “전략적 목적에 따라 고공에서 폭발시켜 광대한 지역에 대한 초강력 EMP 공격까지 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임스 울시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도 “북한이 미국을 공격하는 데 굳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필요없다”며 EMP탄 공격이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EMP 무기는 강력한 전자기펄스를 이용해 주요 시설이나 무기 체계의 전자장치를 파괴하거나 오작동을 유도한다.

이에 대해 울시 전 국장은 최근 미국의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핵무기를 탁재한 인공위성을 쏘아 올려 하루에 지구를 몇 바퀴씩 돌게 할 수 있다”고 북한의 EMP 능력을 우려했다. 그는 “(EMP 공격은) 특정 위치나 건물, 적국의 ICBM 발사대를 겨냥하는 대신 전자망 전체를 망가뜨릴 수 있다. 식량과 물도 얻을 수 없고 통신시설과 병원도 마비되는 끔찍한 상황이 된다”라며 “어떤 지역을 겨냥한 핵무기 공격보다 훨씬 치명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정 장소를 타격할 수 있는 ICBM을 보유하면 더욱 유연한 공격력을 갖추는 것인 만큼 북한은 그런 능력을 갖기 위해 작업 중”이라면서도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올리는 건 쉬운 일이고, 몇 킬로톤(kt) 정도 위력의 핵무기를 골프 가방만 한 크기로 만들어 작은 위성에 탑재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다. (북한이) EMP 수단도 뒷주머니에 넣고 있을 것”이라며 북한이 이미 EMP 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거라고 추정했다.

EMP 공격은 순식간에 사회 기반시설을 마비시킬 정도로 위협적이지만 군 차원의 대비가 미흡하고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송영무 국방장관은 지난달 4일 국회에서 “합참 등 군 주요 지휘부에는 (EMP 공격에 대비하는) 전자파 차폐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대대나 사단까지는 돼있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한국군 221개 시설 가운데 EMP 방어 능력을 갖춘 곳은 2012년 기준 3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서울 100㎞ 상공에서 TNT 환산 100kt의 핵폭탄이 폭발하면 청와대와 국방부, 주한미군사령부 뿐 아니라 계룡시 육해공군 본부 지휘부에도 영향을 준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달 15일 북한이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발사한 뒤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며 단호한 대응과 함께 EMP 공격에 대한 대비 태세를 갖출 것을 지시했다. 군 당국은 유사시 북한의 EMP 개발에 맞서 유사시 핵ㆍ미사일 시설 타격을 위한 EMP탄 핵심기술 확보와 함께 시험 개발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