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스웨덴 한림원이 가즈오 이시구로를 선정한 이유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올해 노벨문학상은 일본계 영국작가인 가즈오 이시구로(63)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한림원은 5일(현지시간)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이시구로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한림원은 그가 “위대한 정서적 힘을 가진 소설들을 통해, 세계와 닿아있다는 우리의 환상 밑의 심연을 드러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5살 되던 해 영국으로 이주한 그는 영국 켄트대에서 영문학과 철학을 전공했으며, 스물 여덞 살이던 1982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가사키의 피폭과 재건을 그린 소설 ‘창백한 언덕 풍경’을 발표하며 데뷔했다.
2015년 발표한 ’파묻힌 거인‘까지 모두 8권의 소설을 출간한 그는 주로 기억, 시간, 환상, 자기기만을 소설의 주제로 삼아왔다.
그 중 ‘2005년 최고의 소설’로 선정된 ’나를 보내지 마‘는 이시구로의 대표작으로 복제 인간들의 슬픈 운명과 사랑을 그린 SF 소설이다. 우리에겐 전후 영국을 배경으로 한 그의 세 번째 소설이자 앤서니 홉킨스, 엠마 톰슨 주연의 동명 영화 ‘남아있는 나날’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림원이 지난해와 같은 파격을 택할지, 보다 폭넓은 공감대와 노벨문학상의 전통적인 가치에 충실한 선택을 할지 관심을 모았다.
지난해 미국의 팝 가수이자 시인인 밥 딜런을 선정, 논란을 불러일으킨 스웨덴 한림원이 올해는 보수적인 선택을 할 것이란 예측이 우세했다. 이에 따라 유럽출신의 소설가가 선정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가즈오 이시구로의 수상은 이런 측면에서 최선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스웨덴 한림원 사라 대니우스 사무차관은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은 프란츠 카프카와 제인 오스틴을 결합한 형태에 마르셀 프루스트가 약간 더해진 스타일”이라고 평가했다.

즉 소설문학의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전쟁의 참상과 평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그의 소설적 천착은 노벨문학상이 추구해온 전통적 가치에도 잘 들어맞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지역, 성별, 쟝르적 안배의 측면에서 노벨상 수상을 점쳐온 호사가들에겐 가즈오 이시구로의 수상이 의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