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유철 “해외 사건사고 2년새 56%↑…재외공관 대응 허술”
해외에서 발생한 한국 국민의 사건ㆍ사고가 최근 2년새 5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의 해외 사고 피해는 매년 급증하고 있지만, 재외 공관의 응급 대응에 필요한 필수정보 관리는 허술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인 자유한국당 원유철 의원이 27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재외국민 사건ㆍ사고는 매해 증가하는 추세였다.

2014년 1만664명에서 2015년 1만4076명, 2016년 1만4493명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만도 8316명이고, 향후 여행 성수기(7·8월)가 포함된 하반기 통계까지 더해지면 그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원 의원은 내다봤다.

이들 사건·사고 중 우리 국민이 피해를 당한 재외국민 피해자 규모 기준으로 봤을 때는 2014년 5952명에서 2015년 8298명, 2016년 9290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규모는 2014년보다 약 56.1% 증가한 규모다.

그러나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응급대응에 필수인 재외국민의 정보는 정작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원 의원은 지적했다.

전 세계 180여 곳의 재외공관에서는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재외공관 영사담당자가 본부와 연동된 ‘e영사(consul)’ 프로그램에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돼 있다.

그러나 원 의원은 “사고자의 한글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는 ‘필수 입력’ 항목으로돼 있는데 정작 연락처, 영문성명, 여권번호 등 핵심 정보는 ‘임의 입력’ 항목으로 돼 있다”면서 “이 때문에 영사 측의 대응이 주먹구구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