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성환경연대 “생리대 유해물질 조사의 배후 전혀 없었다”…각종 의혹 반박
-생리대 사태의 본질은 여성의 건강, 각종 의혹으로 본질 가려져
-여성들 불안고조… 빠른 시일내 해결돼야 할 것

[헤럴드경제=정세희 기자]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이 “생리대 사태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들 때문에 생리대 문제의 본질이 흐려졌다”고 비판했다.

20일 국회 본관에서 여성환경연대가 정의당과 공동 주최한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에서 이안 사무처장은 “생리대 문제의 본질은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물건을 기업이 생산 유통하고, 정부는 방관해왔으며 여성들은 불안해하면서 40년동안 매달 사용했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사진=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이 20일 국회 본관에서 여성환경연대가 정의당과 공동 주최한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앞서 유해물질 실험 대상 생리대 10종 가운데 ‘릴리안’이 가장 먼저 공개된 뒤 여성환경연대는 단체의 이사가 경쟁 제품을 만드는 유한킴벌리 임원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유착관계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안 사무처장은 “생리대 시장 점유율이 높은 외국계 대기업이 시민단체와 연합해 토종 중소기업을 무너뜨리려 한다거나 단체에 배후가 있다는 의혹이 있었지만 이는 모두 사실이 아니다”라며 “배후가 있다면 우리 몸 자체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식약처는 여성단체가 과학적이지 못한 검출실험을 부적절한 방식으로 발표해서 시민들의 불만을 부추겼다고 하는데, 정부가 지금까지 한번도 생리대 검출 실험을 하지 않았으면서 문제를 제기했더니 과학적이지 않다고 하는 것은 의무 방기”라고 비판했다.

이안 사무처장은 각종 의혹들로 인해 여성들의 불안만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결국 불안한 여성들이 외국에서 생리대를 구하고 동대문에서 면을 직접 골라 면생리대를 만들겠다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며 “아직 유기농 면생리대나 탐폰 등이 안전하다는 증거도 없기 때문에 생리대 사건이 빨리 해결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정부가 생리대 안전성을 조사할 때 단순히 화학물질의 숫자만 늘릴 게 아니라 피해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역학조사 과정에서 젠더전문가나 여성ㆍ 환경단체도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s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