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일정상 “원유차단 러시아 최대한 설득”
과거사 문제 미래지향적 접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김상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 원유공급이 중단되도록 중국ㆍ러시아를 최대한 설득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과거사 문제로 양국의 대북 공조 체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 관리를 다짐하는 등 대북 공조와 북한 압박을 최우선 과제로 삼기로 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7일 한일 정상회담 이후 브리핑을 통해 “양국 정상은 북한에 대화보다는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하고, 원유 공급 중단 등 지금보다 더 강력한 제재안이 담긴 안보리 결의안을 추진하는 데에 공조키로 했다”고 전했다.

특히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북한 원유공급 중단에 반대 입장을 피력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를 지속적으로 설득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상황이 더 악화돼 통제불능 상황에 빠져들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며 “양국이 제재와 압박을 최대한 가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평화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자”고 말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시 북한이 추가로 도발하면 새 결의안을 채택하는 데에 합의했기 때문에 더 강력한 내용이 포함되도록 중국과 러시아를 설득하겠다”고 답했다.

양국 정상은 특히 과거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자는 의견도 교환했다. 윤 수석은 “북한 핵과 미사일 도발로 동북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양국이 과거사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교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윤 수석은 이와 관련, “과거사 문제를 양 국가가 가장 큰 현안으로 부각하는 건 현재로선 적절치 않다는 뜻”이라며 “북핵ㆍ미사일 등으로 동북아 전체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는 걸 고려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이날 3차 동방경제포럼 전체 세션에 참석, 기조연설에 나선다. 문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동북아와 유리시아 지역 국가 간의 경제협력 방안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전날 문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ㆍ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자유무역협정 추진 ▷극동지역 금융협력 강화 ▷가스ㆍ철도ㆍ항만 등 인프라사업 협력 강화 ▷한ㆍ러 간 전력망 연계 ▷조선사업 협력 등을 논의했다. 이를 포함, 극동지역과 연계하는 우리 정부의 ‘신(新)북방정책’을 알릴 예정이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