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미 FTA 폐기’…또 흔들기 나선 트럼프 리스크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도널드 트럼프<사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여부를 언급하면서 한미관계에 또다시 변수가 불거졌다. 북핵 위기를 두고 한미 공조가 시급한 시점에서 재차 양국이 민감한 무역문제를 거론한 트럼프 대통령이다. 지난 한미정상회담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재차 미국 내 정치 환경을 고려한 발언을 내놓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허리케인 ‘하비’ 수해를 본 텍사스 주 휴스턴을 방문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참모들에게 ‘한미FTA 폐기 준비를 지시했다’는 워싱턴포스트(WP) 보도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미 FTA 폐기 여부를 언급했다. 앞서 미 언론에서도 재협상 등이 아닌 폐기를 준비 중이란 보도가 나왔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폐기를 진행한다면 이는 한미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악재로 작용한다. 북핵 대응에서까지 양국 공조 체계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보도한 WP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조치는 미국과 동맹인 한국 양국이 북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위기에 직면한 시점에 경제적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워낙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일환으로 엄포를 놓은 것이란 분석도 있다. 사업 협상가로서의 자질을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수차례 보였던 트럼프 대통령이다.

또 갈수록 미국 내 정치 상황이 악화된 와중에 한미 FTA를 통해 자국 내 지지세력의 결집을 꾀하려 한다는 분석도 있다. 앞선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돌연 한미 FTA 문제를 거론했던 트럼프 대통령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대선 기간, 한미 FTA를 “재앙”, “끔찍한 협정” 등으로 비난했었다. 재협상이나 폐기를 공언하기도 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폐기 발언을 단순히 엄포용으로만 볼 수 없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